제 1 연화광산에서 산출되는 황석석의 산출상태와 생성환경

Mode of Occurrences and Depositional Conditions of Stannite from the Yeonhwa 1 Mine

  • Chung, Je-Il (Department of Ge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93.05.31
  • 발행 : 1993.06.30

초록

제 1 연화 광산에서 산출되는 황석석은 생성 시기를 기준으로 하면 비교적 이른 시기 (Stage I)에 산출된 황석석 I (Stannite I)과 늦은 시기 (Stage II)의 황석석 II (Stannite Il)로 나눌 수 있으며 산출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섬아연석과 밀접히 공생하는 황석석 1 (Stannite 1)과 방연석과 밀접히 공생하는 황석석 2 (Stannite 2)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황석석 1은 황석석 I이 황석석 2는 황석석 II가 우세한 경향이 있다. 황석석-섬아연석 지질온도계를 이용하면 생성 온도는 $280{\sim}350^{\circ}C$ 이며 유황의 분압은 $10^{-11}{\sim}10^{-8}$ atm.으로 추정된다.

In the zinc-lead (-silver) ores from the Yeonhwa 1 mine, stannite is widespread, though minor in amount It may be divided largely into two species on the basis of its chronological order during mineralization; i.e., stannite I formed in Stage I, and stannite II formed in Stage II. Also, the mineral may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its associates; i.e., stannite 1 closely associated with sphalerite, and stannite 2 with galena. In general, the stannite 1 tends to predominate in the stannite I and the stannite 2 in the stannite II. The formation temperature and sulphur fugacity of stannite 1 deduced from stannite-sphalerite geothermometry are from 280 to $350^{\circ}C$ and from $10^{-11}$ to $10^{-8}$ atm.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Center for Mineral Resource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