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d Level in Hai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Urban and Rural Areas

국민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두발중 연농도와 관련요인

  • Byun, Yung-W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aKong, J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Chang-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ong-Ha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변영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사공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창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종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lead level in the hair of children as a screening test for lead intoxication of children and as an indicator for environmental pollution. Lead concentration of hair was measured for 268 seven to nine-year-ol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aegu city (147 children) and Gampo town(121 children). The lead level in hair was measur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equipped with a graphite furnace atomizer.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obtained for all children: sex, age, father's occupation and smoking habits, kinds of hair cleaner, fingernail biting habits, and status of the child's hands and clothing. The mean lead level in hair was $8.7{\pm}2.9{\mu}g/g$ in the urban area and $7.7{\pm}2.2{\mu}g/g$ in the rural are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p<0.01). The difference of lead levels in hair measured by cleanliness of the child's hands(clean: $7.4{\pm}2.7{\mu}g/g$, dirty: $8.2{\pm}2.6{\mu}g/g$) and child's clothing(clean: $8.0{\pm}2.5{\mu}g/g$, dirty: $9.3{\pm}2.6{\mu}g/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other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ifference of residency and age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lead level in the hair of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asurement of lead level in the hair is a useful method for the screening of the lead intoxication of children and monito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1992년 3월 한 달 동안 대구시와 경상북도 경주군 감포읍에 위치한 국민학교 각 1개교 1, 2, 3학년 학생 268명(남자 : 136명, 여자 : 132명)을 대상으로 거주지역 및 그 외 관련 인자에 따른 두발중 연농도를 조사하였다. 국민학생들의 성, 연령, 부모의 직업과 흡연력, 두발 세척제의 종류, 손톱을 깨무는 버릇 및 의복과 손의 청결 상태를 조사하였고, 두발중 연농도를 flameless furnace atomizer가 부착된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구지역 거주학생의 평균 두발중 연농도는 $8.7{\pm}2.9{\mu}g/g$으로 감포지역의 $7.7{\pm}2.2{\mu}g/g$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대구지역에서는 72.8%, 감포지역에서는 80.1%의 학생들이 두발중 연농도 $5.1-10.0{\mu}g/g$에 분포하였고, $15.1{\mu}g/g$이상에서는 대구지역은 7명, 감포지역은 1명이었다. 두발중 연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중 손의 청결상태(청결 : $7.4{\pm}2.7{\mu}g/g$, 불결 : $9.3{\pm}2.6{\mu}g/g$)에 따른 두발중 연농도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며(p<0.05), 성, 부모의 직업 및 흡연력, 세척제의 종류 및 손톱을 무는 버릇에 따른 두발중 연농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거주지역 및 관련인자들을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에서 거주지역(회귀계수 : 1.152)과 연령(회귀계수 : -0.511)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다른 변수들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두발중 연농도의 측정이 연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선별검사의 수단으로 그리고 연의 오염이 심한 지역에서의 오염 감시수단으로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혈중 연농도와 대기 및 토양 등 주변환경의 연농도의 측정을 포함한 정밀한 역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