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Care Expenditure of Residents in Urban Poor Area

도시 영세지역의 가계 의료비지출

  • Hwang, In-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yeong-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Chang-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ang, Pock-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ong-Ha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황인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창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복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종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medical care expenditure of residents in urban poor area.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377 family members of 85 households in the poor area of Daemyung 8-Dong, Nam-Gu, Taegu and 442 family members of 96 households in a control area.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housewiv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 to May 31, 1992. The mean age was 31.1 years in the poor area and 37.1 years in the control area.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s per house was 4.5 in the poor area and 4.5 in the control area. The frequency of medical care utilization per household in a one month period was 4.6 in the poor area and 4.3 in the control area. The average number of days of utilization was 12.9 in the poor area and 12.5 in the control area.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a househlod in the poor area was 848,600 Won compared to the control area's 1,752,300 Won. The average monthly consumption expenditure of a household in the poor area was 568,800 Won and that in the control area 1,238,400 Won. The average medical care monthly expenditure per household was 34,500 Won in the poor area and 58,400 Won in the control area. The proportion of the medical care expenditure to monthly income and to monthly consumption expenditure was 4.1% and 6.1% respectively in the poor area, and 3.3% and 4.7%, respectively in the control area. The premium of medical insurance was 1.5% in both areas. The proportion of cost for drug was 57.4%, for medical appliance was 1.2%, and for medical treatment was 41.1% in the poor area and in the control area 52.4%, 1.9%, 45.7%, respectively. The highest proportion of medical care expenditures in the poor area was herb clinic utilization (36.9%), while hospital and clinic(37.8%) was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control area. Mean medical care expenditure per visit was 7,400 Won in the poor area and 12,600 Won in the control area. Mean medical care expinditure per day was 2.800 Won in the poor area and 6,300 Won in the control area.

도시영세지역의 가계의료비 지출 정도를 파악하고자 1992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3개월간 대구직할시 남구 대명8동의 영세지역의 85가구(대상군)와 임의로 선정한 96가구(대조군)를 대상으로 자기기업방법에 의한 의료비지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가구원의 전체 가구원은 819명으로 대상군 377명, 대조군이 442명 이었으며, 평균연령은 대상군 31.1세, 대조군 37.1세였다. 가구당 평균 가구원수는 대상군과 대조군 모두 4.5명이었다. 가구당 평균 월수입은 대상군이 848,600원, 대조군이 1,752,300원이었다. 월평균가계지출은 대상군 635,300원, 대조군 1,414,600원이었으며, 월평균소비지출은 각각 568,800원, 1,238,400원이었다. 월평균 의료비지출은 대상군이 34,500원, 대조군이 58,400원이었다. 월평균 의료보험료는 대상군이 12,900원, 대조군 26,800원으로써 두 군 모두 소득의 1.5% 수준이었다. 월수입에서 보건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대상군이 4.1%, 대조군이 3.3%였고, 가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대상군이 5.4%, 대조군이 4.1%였으며, 가계소비지출에서 보건의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대상군이 6.1%, 대조군이 4.7%였다. 월평균 의료보험료를 포함 시켰을 때 가계소비지출에서 보건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대상군과 대조군이 각각 8.3%와 6.9%를 차지하였다. 보건의료비지출을 의약품, 보건의료용품기구, 보건의료서비스 항목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대상군은 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57.4%, 보건의료서비스 41.4%였으며, 대조군에서는 의약품이 52.4%, 보건의료서비스가 45.7%를 차지하였다. 대상군에서는 한방의료비 지출이 전체 의료비 지출의 36.9%, 그리고 대조군에서는 병 의원 의료비 지출이 37.8%로 가장 많았다. 방문당, 이용일당 의료비지출은 대상군에서는 한방의료가 58,100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민속의료로 19,900원이었으며, 대조군은 민속의료가 112,800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한방의료로 66,000원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상군의 월수입, 가계지출, 소비지출에 대한 의료비의 지출이 대조군에 비하여 그 절대액수는 적으나, 상대적 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상군이 대조군에 비해 의료비 부담이 과중한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조사표본이 크고, 조사기간을 1년으로 한 의료비지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