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검정치(土壤檢定値)에 의한 몇가지 밭작물(作物)의 삼요소(三要素) 기준량(基準量) 조정(調整)

Newly Recommended Rates of N P K Fertilizers Based on Soil Testing for Some Upland Crops

  • 발행 : 1993.06.30

초록

1971~1989년(年)에 수행(遂行)된 기존시비량 시험성적(試驗成績)을 종합(綜合)하여 보리, 대두(大豆), 옥수수, 마늘, 양파 및 감자의 6개작물(個作物)에 대한 3요소(要素) 비료(肥料)의 수량반응(收量反應)을 검토(檢討)하였으며, 아울러 토양(土壤)의 화학성분(化學成分) 검정치(檢定値)와 시비량(施肥量)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3요소구(要素區) 수량(收量) 100에 대한 각요소(各要素) 결제구(缺除區) 수량지수(收量指數)는 작물간(作物間)에 차이(差異)가 있어서 질소(窒素) 43~92, 인산(燐酸) 71~94, 가리(加里) 88~96이었으며, 결제구(缺除區) 수량지수(收量指數)로 본 비효(肥效)는 질소(窒素)의 경우 보리, 감자 및 옥수수, 인산(燐酸)은 개간지토양(開墾地土壤)에서 재배(栽培)한 보리와 대두(大豆), 가리(加里)는 감자 및 보리에서 현저(顯著)하였다. 2. 3요소(要素) 시비적정량(施肥適正量)은 질소(窒素) 4.0~23.2, 인산(燐酸) 6.0~45.0, 가리(加里) 6.6~21.9kg/10a로서 토양(土壤) 및 작물간(作物間)에 차이(差異)가 현저(顯著)하였다. 3. 3요소(要素) 시비효율(施肥效率)은 토양별(土壤別)로 보면 기경지가 개간지(開墾地)보다 높으며 작물별(作物別)로는 감자, 양파>보리, 옥수수>대두(大豆) 순(順)으로 높았다. 4. 시험전(試驗前) 토양(土壤)의 유기물(有機物)과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토양(土壤)의 유효인산(有效燐酸)과 인산시비량(燐酸施肥量), 토양(土壤)의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와 가리시비량(加理施肥量)과의 관계(關係)에서 부(負)의 직선(直線) 내지 곡선(曲線) 회귀식(回歸式)을 구(求)할 수 있어서 양파를 제외(除外)한 5개(個) 작물(作物)의 재배(栽培)를 위한 적정량(適正量)의 시비추천(施肥推薦)이 가능(可能)하였다. 5. 토양검정치(土壤檢定値)를 기준(基準)하여 추천(推薦)된 시비량(施肥量)을 8개(個) 작물재배지역(作物栽培地域)에 적용(適用)하므로 인산(燐酸) 11.8~80.0%, 가리(加里) 0~62.5%의 절감(節減)이 가능(可能)하였으나, 질소(窒素)는 작물재배지역(作物栽培地域)에 따라서는 감비(減肥)는 물론 증비(增肥)도 필요(必要)하였다.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yield response to the N P K fertilizer application for barley, soybean, corn, garlic, onion and potato in the famers' fields from 1971 to 1989. 1. The yield index of without-fertilizers plot when yield of N P K plot is regarded as 100, were 43~92 in plot without N, 71~94 in plot without $P_2O_5$ and 88~96 in plot without $K_2O$. The effects of each fertilizer application for upland crops were greater in barley, potato and corn for N, barley and soybean cultivated in reclaimed soil for $P_2O_5$ and potato and barley for $K_2O$. 2. The optimum levels of N, P and K fertilizers varied with the kinds of soil and crop in the ranges of 4.0~23.2kg/10a for N, 6.0~45.0kg/10a for $P_2O_5$ and 6.6~21.9kg/10a for $K_2O$. 3. The efficiencies of applied fertilizers were increased in cultivated soil in comparison with the reclaimed soil and the efficiencies were in order of potato, onion>barley, corn>soybean. 4. The regression equations of fertilizer recommendation for 5 crops excepting onion were obtained from relations between the organic matter in soil and the amount of N fertilizer applied, between the available $P_2O_5$ in soil and the amount of P fertilizer applied, and between the exchangeable K of soil and the amount of K fertilizer applied. 5. The reduced rates of P and K fertilizer application based on soil testing varied with regions in the ranges of 11.8~80.0 and 0~62.5%, respectively. And the recommendation for N fertilizer amount was necessary to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reg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