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of Trace Strontium with o-Cresolphthaleoxon by Electroanalytical method

o-Cresolphthaleoxon을 이용한 스트론튬의 전기화학적 분석

  • Choi, Won Hyung (Department of Chemistry, Science College, Kyungsung University) ;
  • Lee, Jin Sik (Department of Chemistry, Science College, Kyungsung University) ;
  • Kim, Do Hoon (Department of Chemistry, Science College, Kyungsung University) ;
  • Kim, Jae Soo (Department of Chemistry, Science College, Kyungsung University)
  • 최원형 (경성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이진식 (경성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김도훈 (경성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김재수 (경성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Received : 1993.01.25
  • Published : 1993.08.25

Abstract

Strontium can not be determined by conventional dc polarography method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be reduced at the drop mercury electrode(DME) in aqueous solution. However the analytical sensitivity was improved by adsorptive stripping voltammetry in which electro-reduction of ligand in a complex formed between strontium and o-cresolphthaleoxone was performed. Strontium could be determined in range of $5{\sim}30{\mu}g/L$ concentration. This method was affected by coexistent alkali earth metal ions. Consequently ion exchange separation is recommended to analyze strontium in samples.

스트론튬을 비롯한 알칼리 토금속의 전기화학적 분석의 적용은 수용액상에서 DME(Drop Mercury Electrod)에 대한 환원이 어렵기 때문에 그 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UV-VIS 흡광광도법에서 스트론튬의 분석에 이용되어 온 o-Cresolphthaleoxon을 가지고 이들 사이의 착물형성에 따른 전자이동을 이용하여 전기화학적 분석에 적용시켰다. 이 때 지지전해질의 선택, Accumulation Potential 등 전기화학적 분석에 영향을 미치는 실험조건 등을 조사하여 정량범위를 결정짓고, 분석시 공존 이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UV-VIS 흡광광도법의 경우 $100{\mu}g/L$로 검출감도가 좋지 못하였으나,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할 경우 $5{\sim}30{\mu}g/L$ 범위까지의 정량이 가능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