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havior of Reverted Austenite in Fe-Ni-Mn-(Ti) Maraging Steels

Fe-Ni-Mn-(Ti)계 마르에이징강에서 역변태 오스테나이트의 거동

  • Kim, Sung-Joon (Department of Materials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etals)
  • 김성준 (한국기계연구원 재료기술연구부)
  • Received : 1992.12.18
  • Published : 1993.03.25

Abstract

The behavior of reverted austenite in Fe-Ni-Mn(Ti) maraging steels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400^{\circ}C$ to $550^{\circ}C$ using TEM equipped with EDX. Four kinds of reverted austenite appeared depending on the aging temperatures and time : Widmanstatten, granular, lath-like and recrystallized austenite. The reverted austenites are enriched in Ni and Mn due to the dissolution of precipitates and redistribution of alloying elements. Widmanstatten austenite appears unformly in the lath martensite having the K-S orientation relationship with the martensite lath, while lath-like martensites showed K-S and N relations depending on the chemistry and heat treating condition. The recrystallized austenite forms at $550^{\circ}C$ after long aging times : some becomes unstable and transforms to lath martensite on cooling.

Fe-Ni-Mn-(Ti)계 마르에이징강을 용체화처리한 후 $400^{\circ}C$부터 $550^{\circ}C$ 사이에서 장시간 시효처리할 때 생성되는 역변태 오스테나이트의 거동을 투과전자현미경 및 분석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시효온도와 시간에 따라 Widmanstatten, granular, lath-like 및 재결정 오스테나이트 등 4 종류의 역변태 오스테나이트가 관찰되었으며, 역변태 오스테나이트들은 기지조직인 마르텐사이트보다 많은 니켈과 망간을 함유하고 있었다. Widmanstatten과 lath-like 오스테나이트는 기지 조직과 일정한 방위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방위관계는 시효조건과 합금조성에 따라 달라진다. 재결정 오스테나이트는 $55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시효할 때 생기지만 불안정하여 냉각시 다시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