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Air Void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with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on High Strength Concrete

고강도(高强度) 콘크리트에서 기포조직(氣泡組織) 및 강도특성(强度特性)이 연결융해저항(連結融解抵抗)에 미치는 영향(影響)

  • Received : 1993.04.30
  • Published : 1993.07.31

Abstract

The influence of the bubble structure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n the freeze-thaw resist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is investigated by the laboratory experiment. The test conditions are formed in the manner that water is continueusly supplied externally and the specimens were received severe weather actions from ordinary to significantly low temperatures. The experiments are performed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relation between the durability to frost action and the bubble structure is analyzed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water-cement ratio and the amount of air. The AE and non-AE concrete specimens made of ordinary portland cement are used in the test. In the second stage, the non-AE concrete specimens using vibratory compaction to improve the durability to frost action, and the high watertight specimens of rapid hardening portland cement to increase their initial strength are produced and tested. The degree of watertightness of the specimens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permeability of the specimens and the bubble structure of the high watertight concrete is also estimated.

본(本) 연구(硏究)는 고강도(高强度) 콘크리트가 외부(外部)로부터의 수분(水分)의 공급(供給)을 받으면서 상온(常溫)에서 저온(低溫)까지의 가혹한 기상작용을 되풀이 받을 때 고강도(高强度) 콘크리트의 연결융해(連結融解)저항에 미치는 기포조직(氣泡組織) 및 강도특성(强度特性)의 영향에 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이다. 이 연구(硏究)를 위하여 1단계 실험(實驗)에서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AE콘크리트와 non-AE 콘크리트에 대해 물 시멘트비와 공기량을 중심(中心)으로 내연해성(耐連害性)과 기포조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2단계 실험(實驗)에서는 non-AE 콘크리트의 내연해성(耐連害性)을 향상(向上)시키기 위해 공시체(供試體) 제작시 진동다짐으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또 동결융해 시험시의 초기강도를 높이기 위해 조강(早强)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여 고수밀성(高水密性)의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이때 수밀성(水密性)를 투수시험(透水試驗)에 의한 투수계수(透水係數)를 측정하여 판단하고 아울러 고수밀성(高水密性) 콘크리트의 기포조직(氣泡組織)도 측정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