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C-6를 이용한 대청댐 하류의 하상변동예측

Prediction of River Profile Changes Downstream of the Daecheong Dam by Using the Computer Program HEC-6

  • 유권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우효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투고 : 1993.08.18
  • 발행 : 1993.11.30

초록

미공병단에서 개발된 하상변동계산모형인 HEC-6를 대청댐 하류의 금강에 적용하여 대청댐 축조에 따른 하류 하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대청댐은 금강의 중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댐 하류는 하상이 대부분 세사(細砂)와 중사(中砂)로 이루어져 있는 전형적인 충적하천으로 댐축조에 따른 하상변동이 예상되는 구간이다. 분석결과 댐 직하류 15km 구간은 대청댐 축조에 의해 하상이 2~3m 정도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이 구간의 현재의 하상은 자갈과 호박돌 등에 의한 장갑화 현상에 의해 더 이상의 심각한 하상저하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연구대상구간내에는 대규모 골재채취로 인하여 국부적으로는 2m 이상이나 하상이 저하된 곳도 있다. 반대로, 대상구간의 하류부인 규암 수위표 상류 20km 인근의 하상은 0.5~1m 정도 상승하였다. 이 구간의 하상변동을 모의하기 위해 HEC-6 모형을 적용한 결과, 이 모형이 장기간의 하상변동을 비교적 적합하게 모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후 40년간의 하상변화를 모의한 결과, 이 구간은 장래에는 하상변동이 별로 없는 안정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다만 중상류 일부 구간은 1~2m 내외의 하상저하, 하류구간은 0.5m 정도의 국지적 하상상승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simulating river profile changes downstream of the Daecheong multipurpose dam by using the computer program HEC-6, which was developed by the 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The dam locates at the Keum river, a typical alluvial stream, whose bed material is composed mostly of fine and medium sands. The study reveals that after the completion of dam, a 15 km long reach downstream from the regulatory dam was severely degraded by about 2~3 m. No further severe degradation of this reach is expected, however, because the river-bed of this reach has been well armored since then with gravels and cobbles. Some places in the study reach were degraded locally by 2 m, due mainly to the large-scale gravel mining activities in that reach. On the other hand, a 20 km long reach in downstream study reach is aggraded more or less by 0.5~1 m. Calculation by the computer program HEC-6 is close to measurement for the study river reach. According to the results by HEC-6, the study river reach would remain generally stable in the future, except a few places in the mid-upstream where further river-bed degradation of 1~2 m would occur and a few places in the far downstream where local river-bed aggradations of about 0.5 m would occu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