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분석(引用分析)을 통한 문헌(文獻)의 이용률 감소현상(減少現象) 및 장서폐기(藏書廢棄) 연구 - 경제학(經濟學)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bsolescence and Weeding by Citation Analysis - Application to Economics -

  • 신은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보자료실)
  • 발행 : 1993.12.31

초록

국내 경제학(經濟學) 잡지기사(雜誌記事)에 실린 인용문헌을 자료의 형태 및 발행지별로 발행년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문헌(文獻)의 이용률 감소현상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반감기는 단행본 12.09, 잡지기사 9.68, 보고서 8.93년으로 나타났으며, 문헌(文獻)이 발행된지 2년 안에 인용되는 빈도수가 특히 높았다. 또한 자료(資料)의 인용빈도(引用頻度)가 현격히 줄어든 시점 즉, 전체 인용 중 90%가 일어난 시점을 장서의 폐기년도로 추정하면, 단행본은 40.15, 잡지는 32.15, 보고서는 29.65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bsolescence of documents according to their dates, types and locations of publica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The half-life of monographs is 12.09 years while those of articles and research papers are 9.68 and 8.93 years, respectively. Moreover, documents are most often cited by researchers within two years since their publication. Lastly, but not the least, the estimated weeding points for monographs, articles, and research papers, assuming that their weeding points have been realized when their accumulated citation rates reach 90%, are 40.15, 32.15, and 29.65 years, respec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