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terpretation for Stand Structure in Natural Oak Forests

참나무 천연림(天然林)의 임분(林分) 구조(構造)에 대한 해석(解析)

  • Kim, Ji Hong (College of Forestry, Kangwon National Univ.) ;
  • Lee, Don Koo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einces, Seoul National Univ.) ;
  • Kim, Zin-Suh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Korea Univ.) ;
  • Lee, Kyung Joon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einces, Seoul National Univ.) ;
  • Hyun, Jung Oh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einces, Seoul National Univ.) ;
  • Hwang, Jae Woo (College of Agriculture and Animal Science, Yeungnam Univ.) ;
  • Kwon, Ki Won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
  • 김지홍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진수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
  • 이경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현정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황재우 (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 권기원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 Received : 1993.01.28
  • Published : 1993.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stand structure based on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deciduous forest dominated by Quercus species, which will provide with fundamental ecological and silvicultural information for effective forest management. Of two tracts selected from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Forests, one is located in Kwangju-Gun Kyunggi-Do, and the other in Kwangyang-Gun Chollanam-Do. Point-quarter sampling method w-as employed to survey woody vegetation confined to larger than 6cm in DBH. The numbers of sample points were 152 and 187, in Kwangju-Gun and Kwangyang-Gun, respectively. Comparative analysis for two forest tracts was made as follows ; 1) species composition by calculation of importance values ; 2) number of stems per hectare for major tree species ; 3) species diversity for the forests in two locations ; 4) inter-species association based on $X^2$ test. The relative dominate of Quercus speices showed 88% at Kwangju-Gun, Kyunggi-Do and 50% at Kwangy-ang-Gun. Chollanam-Do. Such high dominance occurred due to high importance values of Quercus variahilis and Q. mortgolica in both locations. Quercus serrata showed low value at Kwangju-Gun. Kyunggi-Do whereas Q. acutissirna, Q. dentata and Q. aliena did none at Kwangyang-Gun. Chollanam-Do. The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 oak communities exhibited 0.82 and 0.61, respectively at Kwangju-Gun. Kyunggi-Do, while those did 1.09 and 0.73 at Kwangyang-Gun, Chollanam-Do.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Ku-angju-Gun region was disturbed severely by human activities but Kwangyang-Gun region eras less disturbed. Frequent appearance of Carpinus and Acer species indicates increase in diversities and better development of succession at Kwangyang-Gun region.

경기도(京畿道) 광주군(廣州郡)과 전라남도(全羅南道) 광양군(光陽郡)에 위치한 서울대학교(大學校) 연습림(演習林)에서 참나무류(類)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천여(天然) 활엽수림(闊葉樹林)의 구성적(構成的)인 특정을 중심으로 임분(林分) 구조(構造)를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경영하기 위한 기초 생태학적(生態學的) 그리고 조림학적(造林學的) 정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본 조사 방법은 흉고직경(胸高直徑) 6cm 이상의 목본(木本) 식생(植生)에 대하여 점사분법(點四分法)을 이용하였고, 광주군의 산림에는 152개의 표본점을, 광양군 산림에는 187개의 표본점을 설정하였다. 두 지역의 조사 임분에 대하여 1) 중요치(重要値) 산출에 의한 수종(樹種) 구성(構成) 상태(狀態), 2) 주요 구성 수종별 단위 면적당 임목수, 3) 두 지역 산림의 수종(樹種) 다양성(多樣性), 그리고 4) $X^2$ 검정(檢定)에 의한 참나무류 6수종에 대한 종간(種間)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비교 분석하였다. 참나무류의 상대우점도는 경기도 광주군에서 88%정도이고, 전남 광양지역에서는 50%정도로서, 두 지역에서 굴참나무와 신갈나무가 공통적으로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굴참나무는 광주지역에서 낮은 분포를 보이고,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갈참나무는 광양에서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참나무군집의 종다양성과 균재도는 광주에서 각각 0.82와 0.61인 반면, 광양지역은 각각 1.09와 0.73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서, 광주지역은 인간의 간섭을 더 많이 받은 지역으로 여겨지며, 광양지역은 서어나무,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등이 많이 침입하여 종다양성이 증가하고 천이가 상대적으로 더 진전되고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과학기술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