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소나무 - 유전적으로 별개의 품종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 - 동위효소분석 결과에 의한 고찰 -

Pinus densiflora for. erecta - Can It Be Treated Genetically as a Distinct Group? - Reconsideration Based on Allozyme Data -

  • 투고 : 1993.03.15
  • 발행 : 1993.06.30

초록

별개의 품종으로 인정되고 있는 강원 경북지역의 금강소나무(Pinus densiflora for. erecta) 8개 집단, 소나무 17개 집단 및 곰솔 13개 집단을 대상으로 공통으로 조사된 16개 동위효소 23개 유전자좌에서의 유전변이를 상호간에 비교 분석하였다. 소나무와 금강소나무 집단에서의 대립유전자 종류와 빈도분포가 매우 유사하고 곰솔에만 출현하는 표식인자가 금강소나무 집단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은 사실로부터 금강소나무가 곰솔의 영향을 받은 이입잡종이라는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계층구조에 의한 Wright의 F 분석 및 Nei의 유전적 거리, 유전자좌별 거리계수 빈도분포를 이용한 여러가지 유전분석 (유집분석, 요인분석, 수지구분석)의 결과로 부터 강원 경북지역의 소나무 집단이 다른 지역의 소나무 집단들과 구분될 수 있는 뚜렷한 유전적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The genetic variation patterns at 23 loci coding for 16 isozymes in eight natural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s distributed in Kangwon-Kyungbuk region and 17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and 13 populations of Pinus thunbergii were compared. The absence of marker alleles specific to P. thunbergii and almost the same allele-frequency distributions to those of P. densiflora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 densiflora for. erecta is a introgressive hybrid between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From the results of the hierarchial analysis of population differentiation using Wright's F statistics(1978), the frequency distributions of single-locus distance coefficients and other genetic analysis (genetic distance,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resin duct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Pinus densiflora for. erecta cannot be treated genetically as a distinct group from other natural populations of P. densiflora.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