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and Side Effect of Dipyridamole in Myocardial SPECT

Dipyridamole 부하 심근 SPECT에서 Dipyridamole의 작용과 부작용

  • Yang, Hyung-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Dong-S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eo, Jeong-Su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Bae, Sang-Ky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Chang-W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June-Key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yung-Chu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h, Chang-S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양형인 (경희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동수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여정석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배상균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최창운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정준기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명철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고창순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Published : 1993.11.15

Abstract

Dipyridamole is an agent that may be used to noninvasively evaluat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effect of dipyridamole infusion its generally related to its induced peripheral vasodilatory effect. In normal person, heart rate is generally increased slightly while blood pressure decrease, but the achieved double product and related myocardial oxygen consumption have no significant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and side effect of dipyridamle, and to compare different response to dipyridamole among the patients. We evaluated 847 patients who underwent dipyridamole stress myocardial SPECT. 93.6% of them had induced hypotension, 0.9% showed no change of blood pressure, 5.5% had increased blood pressure. 8.3% had no change of pulse rate more than 10% of basal pulse rate. Among diabetes, 16.9% was not change of pulse rate, 6.7% in non-diabete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and rate pressure product rest(RPPr), in patiens without perfusion defects on SPECT(y=7.1x+ 48.4 r=0.13 p>0.01). As increasing age, RPPs/RPPr was declined(y= -11.6x+68.9 r=0.17 p<0.01),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patients with perfusion defect. The size of perfusion defect on myocardial SPECT have no correlation between RPPr and RPPs/RPPr. The side effects of dipyridamole included chest pain and chest tightness, headache, abdominal pain, dizzness, nausea, and dyspnea. As increasing age, dipyridamole-induced cardiac work at rest was increased, cardiac response to dipyridamole was decreased.

Dipyridamole은 정맥주사시 매우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그 약물효과는 혈압강하와 심계항진에 의한 증상이 대부분이다. 저자들은 dipyridamole 부하 심근 SPECT를 시행한 847명 환자에서 dipyridamole에 대한 반응양상과 부작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환자는 847명으로 이들 중 혈압과 맥박수의 측정기록이 있는 702명에서 심근의 관류결손부위에 따른 헐압과 맥박수의 곱과 곱의 비를 분석하여 dipyridamole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1) Dipyridamole 투여후 나타난 부작용으로는 흉통이나 흉부불쾌감(20.3%)이 가장 많았고 두통이 14.8%, 숨이 차다고 한 예가 4.6%, 복통이 4.3%, 어지러움이 2.2%의 빈도를 보였다. 2) Dipyridamole 투여후 대부분의 환자에서 혈압감소를 보여 93.6%에서 혈압이 감소하였고, 0.9에서 혈압의 변동이 없었고, 5.5%에서는 오히려 혈압이 증가하였다. 3) Dipyridamole 부하전의 맥박수에 비해 10%이상의 증가를 보이지 않은 경우는 전체 대상환자의 8.3%였다. 당뇨환자의 16.9%, 비당뇨환자의 6.7%에서 맥박수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p<0.005). 4)심근 SPECT상 관류결손이 없는 234명에서 연령과 RPPr의 관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RPPs/RPPr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류결손이 있는 환자 468 명에서도 연령과 RPPs, RPPs/RPPr이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5) 휴식기 심근의 관류결손이 있는 환자군에서 심근의 관류결손의 크기와 RPPr과 RPPs/RPPr은 관련이 없었다. Dipyridamole에 의한 반응으로 비전형적인 반응을 보인 경우는 혈압증가가 5.5%, 맥박의 증가가 없는 경우가 8.3% 였다. 혈압과 맥박수의 곱 또는 곱의 비와 연령과의 관계는 휴식기 심장부하가 많은 고령의 환자에서 증가되어 있었으며 dipyridamole부하에 의한 심장부하량은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적어짐을 시사하였다. 관류결손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에서 dipyridamole부하로 인한 심장부하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ipyridamole에 의한 부작용은 흉통, 두통, 복통 등의 순이었고 전예에서 호전되었으며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정도의 심장마비나 심부정맥은 한 예에서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dipyridamole은 약물부하 심근 SPECT 검사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