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hanisms of Salt Tolerance in Crop Plants II. Physiological Responses of Barley, Rye, and Italian Ryegrass Seedling to NaCl Concentration

작물의 내염성 기작 연구 II. 염분농도에 따른 보리, 호밀,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유묘반응

  • Published : 1993.10.01

Abstract

Rye(Secale cereale cv. Chunchu), barley(Hordeum vulgare cv. Dusan 29#), and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cv. Barmultra) were treated at 0, 0.1, 0.3, and 0.6 % of NaCl solution for 30 days.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leaf area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NaCl level, and leaf area was decreased mainly due to decrease of leaf length. Root length was decreased at higher NaCl levels, but root number was increased. Shoot dry weight was decreased by increasing NaCl levels in rye and italian ryegrass, but barley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Dry weight of root was more decreased than that of shoot at higher NaCl levels. Chlorophyll content was decreased, but electric contuctivty of shoots and roots was increased at higher NaCl levels. Na+ content in shoot and root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NaCl level but the degree was not same. Reducing power of roots was that three crops as affected by NaCl was not equal. Barley was the most tolerant to NaCl stress.

보리, 호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를 실험재료로 하여 염분농도가 다른 배양액에서 수경재배하면서 염분농도에 따른 유상기의 생육반응을 조사하었다. 1. 파종후 15일패의 초장과 엽면적은 세 작물 모두 염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엽면적의 감소는 엽폭의 감소보다는 엽장의 감소가 그 원인이었으며 염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근장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염분농도의 증가에 따른 생장량 감소의 정도는 보리 > 이탈리안 라이그래스 > 호밀의 순이었다. 3. 엽록소함량은 호밀과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는 염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보리는 변화의 경향이 없었다. 4. 생체중 1g에 대한 건물중은 호밀과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는 염분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여 고염조건에서 생육할 경우 생체내 수분의 함량이 높아졌으며 보리는 변화의 양상이 없었다. 5. 엽녹소함량은 염분농도가 0.6%로 높은 경우에는 세 작물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전기전도도는 염분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6. 뿌리와 잎에 함유된 Na+은 염분의 농도가 높아 질수록 증가하였는데 호밀의 경우는 잎과 뿌리의 함유량은 비슷한 반면 보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에서는 뿌리보다 및에서 Na+의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염분을 잘 이동시키지 않는 기구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7. 근활력은 호밀이 염분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력이 감소하는 반면 보리에서는 염분농도의 증가에도 활력이 오히려 높아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