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Leaf and Pod Removal on Photosynthesis and Assimilate Partition in Soybean

적엽ㆍ제협처리가 콩의 광합성과 동화물질 배분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3.05.01

Abstract

To clarify the effects of sink demand for assimilate on leaf photosynthetic rate, tissue composition, and leaf senescence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J plants, pod and leaf tissues were removed at growth stage $R^3$. Plant responses were measured every 10days from 2 through 42days following treatment. Leaves of depodded plants exhibited increased starch and chlorophyll contents and specific leaf weight. Stomatal resistance was also increased and leaf photosynthetic rate was reduced. Dry weight of vegetative tissues except leaves was increased by pod removal. Leaf removal resulted in a decreased starch content of leaves from 22 to 42days after treatment and that of roots at all sampling times. Specific leaf weight was decreased while leaf photosynthetic rate was increased. Stomatal resistance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little affected. Weight per seed was decreased 3.0% by leaf removal. Except for the seed, tissue protein contents were increased by pod removal but decreased by leaf removal, however, seed protein content was not affected by either. Apparent senescence was delayed by depodding. Both apparent and functional senescence were accelerated by leaf removal.

대두에서 각각 50%의 협제거와 협제거 처리에 의해서 변화된 동화물질에 대한 sink demand가 엽의 광합성율과 각 부위별 단백질 함량 및 엽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량자원학과 실험포장에서, pot에 팔달콩을 공 시하여 총건물중과 엽을 제외한 vegetative tissues의 건물중, 잎과 뿌리의 전분함량, 엽의 광합성율과 기공저항성, 각 부위별 단백질함량, 엽의 chlorophyll content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을 제외한 vegetative tissues의 건물중은 협제거 처리에 의해서 증가되었고, 따라서 협제거 처리에 의한 총건물중의 감소는 유의성이 없었다. 2. 종실의 100립종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50% 협제거 처리에 의해 6.4% 증가하였으며, 50% 엽제거 처리에 의해서 3.0% 감소하였다. 3. 엽의 전분함량은 처리 후 22일부터 감소되었고 뿌리의 전분함량은 전 시기에 걸쳐 감소되었는데, 잎과 뿌리의 전분함량은 협제거 처리에 의해 높아지고 엽제거 처리에 의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Specific leaf weight는 협제거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고 엽제거에 의해 감소 되었다. 5. 엽의 광합성율은 전 시기에 걸쳐서 높아졌으며, 협제거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7. 잎, 중기+엽병, 뿌리 등의 단백질함량은 점차로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협제거 처리에 의해 높아졌고 엽제거에 의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8. 성숙기( $R_{7}$)의 종실의 단백질함량은 협제거와 엽제거 처리에 의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9. 엽의 chlorophyll content의 감소에 의한 엽의 외관상 노화는 협제거처리에 의해 지연되었고 엽제거에 의해 촉진되었다. 10. 광합성율의 감소에 의한 엽의 기능상 노화는 엽제거 처리에 의해 촉진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