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제38권1호
- /
- Pages.8-14
- /
- 1993
- /
- 0252-9777(pISSN)
- /
- 2287-8432(eISSN)
밀 잡종 후기 세대에서 단백질 함량 및 경, 연질의 선발 효과
Selection Efficiency for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in Progenies of Hybridized Wheat
초록
가공 적성면에서 가장 중요한 품질요인인 단백질의 양과 질을 육종 목표로 했을 때 잡종 후기 세대에서의 선발 효과를 보기 위하여 조광 x Lancota, 수원 210호 x Atlas 66의 두 조합의 후대를 공시하여 단백질함량, 심전가, Mixogram pattern, 제빵 특성을 검토하였다. 1. F4 세대에서 선발된 고단백 집단의 단백질함량은 저단백 집단에 비해 F5 세대에서는 유의성 있게 높은 값을 보였으나 F6 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심전가 고단백은 경질 Group과 저단백 연질 Group간에서만 차이가 인정되었다. 3. F6 세대에서 개체별로 수확하여 단백질함량과 심전가를 분석한 결과, 분포영역은 저단백 연질, 저단백 경질, 고단백 연질, 고단백 경질 Group의 순서로 단백질 함량 및 심전가 높은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수원 210호 x Atlas 66 조합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4. 밀가루 반죽의 특성을 나타내는 Mixogram pattern은 각 특성 Group별로 고유의 형태를 보여 선발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5. F6 세대의 제빵 특성은, 수원 210호 x Atlas 66 조합은 고단백 경질 Group이 저단백 연질 Group에 비해 빵의 부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광 x Lancoa 조합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o investigate selection efficiency for protein content and hardness in a wheat breeding program, two crosses were made between soft wheat (SW) ‘Chokwang’ and hard wheat (HW) ‘Lancota’, and between HW ‘Suwon 210’ and SW ‘Atlas 66’. F2 progeny lines from the crosses were separated into 4 groups as HW + high protein (HP), HW + low protein (LP), SW + HP and SW + LP by measuring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in F4 generation. The subsequent populations were tested for protein content, sedimentation value, mixogram pattern and bread quality. HP group selected from F4 again had a higher protein content in F5 generation than LP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F6 generation. In sedimentation valu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cognizable only between the groups of HW + HP and. SW + LP. Plant based investigation in F6 revealed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 for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shifted from the low to high by the four groups with the order of SW + LP, HW + LP, SW + HP, HW + HP. Such a trend was most noticeable in the progenies of the cross between ‘Suwon 210’ and ‘Atlas 66’. Mixogram pattern that shows flour characteristics differed greatly among the groups, indicating a high selection efficiency for the traits. Bread volume in F6 of HW + HP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SW + LP, only from the cross between ‘Suwon 210’ and ‘Atlas 66’.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