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DNA Fingerprint for the Korean Native Chicken

한국 재래계의 유전자 지문에 관한 연구

  • 여정수 (영남대학교 축산학과) ;
  • 정태완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화학과) ;
  • 한재용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 최창본 (영남대학교 축산학과) ;
  • 김재우 (영남대학교 축산학과) ;
  • 정선부 (노온진흥청 제주심험장)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Korean native chicken(KNC) and imported chicken by phenotypic performances and DNA fingerprinting. Two lines, KNC and White Leghorn(WL) , of chicken were maintained in the laboratory of Yeungnam University. Economic traits (body weight, sexual maturity, hen-day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body-type, head, feather, shank) were checked. The DNA fingerprinting was analyzed for both breeds. The growth rate of the KNC was similar to WLS and sexual maturity of the KNC came later than WL. Hen-day egg production of the KNC was also slightly lower than the WL. The egg weight was about 10g lighter than WL.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weight of female KNC compared to the WL after 28 weeks. The study confirms difference between KNC and WL in DNA fingerprinting as well as its outlook. Thus, we suggest that these should be tested in nationwide districts about chickens known as the KNC using DNA fingerprinting. Then, the confirmed KNC populations should be maintained and used for the genetic improvement. Finally, only confirmed KNC should be in market which induce consumer to seek the KNC by its favorite.

본 연구는 다가오는 농축산물 수입개방의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 고유의 맛을 지닌 순수한 재래계의 식별 유지 및 개량하기 위한 과학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재래계 및 수입계인 백색 Leghorn종을 line별로 유지하면서 경제형질 (체중, 초산일령, 산란을, 난중)과 표현형 특이성 (체형, 두부, 깃털, 정강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최첨단 기법인 유전자 지문 기법을 도입하여 재래계와 수입계의 DNA에 대한 유전자 지문을 실시하였다. 재래계의 경제형질에 있어서 체중은 산란계 품종인 White Leghron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고, 초산일령 및 최고 산란기는 수입계보다 다소 늦었으며 평균 산란율 역시 수입계에 비해 다소 떨어졌다. 재래계의 난중은 수입계에 비해 약 10g 정도 가벼웠다. M13mp18 single-stranded DNA를 probe로 사용한 유전자 지문에서, 재래계는 4.4kb와 4.9kb에서 수입계는 10.6kb와 12.4kb에서 품종 고유의 구분이 확실한 다수의 band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고유의 유전자원인 재래계의 유전자 지문을 수입계의 유전자 지문과 식별할수 있는 것으로 개발하였으며, 향후 이 기술을 이용해서 구체적인 재래계의 유지 및 개량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