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MMS Computer Program for Dynamic Analysis of Power Plant

발전소 동적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 홍용표 (한국전력기술(주) 원자력사업단 기계기술부) ;
  • 곽병엽 (한국전력기술(주) 원자력사업단 기계기술부) ;
  • 윤명열 (한국전력기술(주) 원자력사업단 기계기술부)
  • Published : 1993.04.01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dynamic model of 1,000 MW$\_$e/ nuclear power plant including its local and integrated control system. The model was constructed using the Modular Modeling System (MMS) developed by the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 to provide an efficient, economical and user-friendly computer code for use in the analysis of the dynamic performance of nuclear and fossil power plants in conjunction with the Advanced Continuous Simulation Language (ACSL). Steady state for full load and transient results for turbine power step changes of loft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model includes most major components of a 1,000 MW$\_$e/ nuclear power plant and it can readily be modified to simulate a specific power plant. This procedure greatly reduces the analysis and modeling efforts involved in dynamic simulation of power plants and increases confidence in the analysis results.

기술업무의 효율적인 수행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리회사에서는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도입하여 설계 및 분석능력의 배양을 통한 조속한 기술자립과 보유 전산프로그램의 활용 극대화로 경제성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발전소 운전상황의 변화로 야기되는 중장기 과도현상을 효율적이며 보다 쉽게 수행하기 위해 미국의 EPRI에서 개발한 전산프로그램 MMS를 도입하였다. 본고에서는 MMS를 이용하여 영광 3, 4호 계통과 기기설계값 및 제어개념을 반영한 1,000 MWe 급 원전의 동적성능 분석용 표준모델을 작성하고, 응용기법과 절차를 확립하기 위해 최대 보증정격 운전중 10% 계단 부하 감발운전모드를 사례연구로 수행하여 해석사례와 분석의견을 수록하였다. 작성된 표준모델에는 증기발생기를 포함한 2차측 전체계통의 주요기기와 제어계통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계통구성이나 발전출력이 다른 발전소라 하더라도 개발된 모델에 부분적인 수정 및 보완으로 손쉽게 동적성능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