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aleo-Climatic Reconstruction using Rock Magnetism and Stable Carbon Isotope: Bignell Hill Case, Lincoln County, Nebraska

암석의 자장특성과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고기후의 복원

  • Kyeong Park (Department of Georgraphy, University of Kansas) ;
  • Soon Shik Kw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ongju University)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In the loess-paleosol sequences from central Great Plains, U.S.A., variation in magnetic susceptibility, FD, NRM have been proven to be excellent proxy for paleoclimate, and the standard interpretation is that climatic processes have enhanced the rock magnetic intensities. By using mineral magnetic properties, we show the magnetic signal is due to pedogenesis during the warm and possibly wet interglacials and interstadials. Other proxy records, such as stable carbon isotope and phytolith, are in good agreements with the magnetic records.

Loess를 이용한 제4기 연구는 최근에 있어서 미국 중서부 캔자스대학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는데 그 이유는 그레이트 플레인즈 지역에 광범위하게 퇴적되어 있는 뢰스층때문이다. 중국의 황토고원에서 연구가 진행되면서 미국내에서도 뢰스층을 통하여 제4기 기후환경 변화추적이 시도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퇴적층내의 꽃가루, 연체동물 등의 화석의 보존 상태가 극히 불량하여 뢰스층내의 지자기와 안정동위원소인 $^{13}C$를 이용한 복원에 중점을 두어 왔으며 본 논문 내용도 그의 일환이다. 36.000년 전 (Interstadial)부터 현세까지 퇴적된 뢰스가 본 연구지역인 네브라스카주 Bignell구릉지대에서 약 80m에 걸쳐 다양한 퇴적상을 보여 주고 있다. 최종간빙기 및 빙기에 형성된 Peoria loess Brady soil에서 현재까지의 퇴적물을 분석하여 기후환경을 복원하였다. 여기에서는 암석자장을 이용한 자성반응과 $^{13}C$를 이용한 식생의 복원으로 많은 샘플을 분석하여 미시적 데이타가 추출되었다. 한국과 같이 화분분석이 어려운 실정을 감안한다면 이와같은 연구를 통하여 고기후 복원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