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해 완도 정도리 자갈 해빈의 퇴적작용

Sorting and Abrasion Processes on Gravel Beach of Jeongdo-ri, Wando, Korea

  • 고영이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박용안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최강원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 발행 : 1993.12.01

초록

전라남도 완도의 남단에 동-서 방향으로 발달되어 있는 정도리 자갈해빈 (shingle beach)은 전형적인 만입형 해빈 (pocket beach)에 속한다. 1992년 5월부터 1993년 3월까지 야외조사를 실시하여 폭풍이후의 해빈단면 변화를 관찰하고 자갈의 조직변수들 (textural parameters)을 계산하였다. 또한 해안선에 수직 및 수평한 방향으로의 자갈의 입도와 형태분포를 조사하여 해빈 전반에 걸친 퇴적물의 운반과정과 퇴적과정을 고찰하였다. 정도리 자갈해빈의 단면 (beach profile)은 크게 평상시에 조석과 파랑의 영향을 받는 보통대 (Fair-weather zone)와 폭풍 기상조건하에서 형성되는 폭풍대 (Storm-weather zone)로 구분된다. 각 부분 (zone)은 파랑의 swash, overwash 및 backwash의 연속적 퇴적시스템에 의한 일련의 해빈면 (beach face)과 범 (berm)으로 구성된다. 폭풍대는 다시 해빈면과 범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A-, B-, C-group으로 세분하였다. 해안선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입도변화는 보통대의 경우 범의 자갈입도 (45.5 mm ~ 123.6 mm)가 해빈면의 것 (36.8 mm ~ 78.3 mm)보다 더 조립하여 모래해빈(sand beach)에서 나타나는 입도분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폭풍대에서는 범의 자갈입도 (33.1 mm ~ 82.5 mm)가 해빈면의 자갈입도 (46.2 mm ~ 105.2 mm) 보다 더 세립한 양상을 보였다. 수직한 방향으로의 자갈형태 분포의 변화는 폭풍대의 C-group을 제외한 각 부분의 disc형태의 비율이 해빈면 (45.9 % ~ 51.3 %)보다 범(50.0 % ~ 58.5 %)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equant형태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바다쪽으로 가면서 10 % 정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해안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강한 파랑에너지에 의한 입자의 크기와 형태에 따른 분급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안선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자갈입도는 해빈의 동쪽 끝부분이 조립하게 나타나는것을 제외하고는 동-서 방향으로의 입도분포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동-서 방향으로의 자갈형태 분포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 해빈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disc와 blade형태가 각각 20 %와 13 %로 감소하고, equant형태는 34 % 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해안선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자갈의 형태에 따른 분급작용이 우세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자갈의 형태를 입도별로 삼각도표에 나타낸 결과 입도가 작을수록 둥글거나 편장된 (elongate) 형태로의 방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자갈의 형태는 일차적으로 모암의 암석성분에 의해 결정되나 운반된 이후에는 파랑의 작용을 끊임없이 받으면서 분급작용과 자갈의 크기에 따른 형태적 진화과정을 겪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shingle beach as a typical pocket beach located in Jeongdo-ri, Wando, Cheolanam-do, Korea has been investigated in terms of textural characteristics, mainly gravel shape and roundness. In the Jeongdo-ri gravel beach, changes of beach profile after storm weather and textural parameters of gravels were observed and measured from May 1992 to March 1993. Beach profile is divided into two different Fair-weather zone and Storm-weather zone influenced by dynamic condition of wave energy. The former is affected by wave and tide under fair-weather condition, the latter seems to be formed under storm-weather condition. Each zone comprises a series of beach faces and berms formed by continuous sedimentary processes of swash, overwash and backwash. Storm-weather zone is subdivided into three groups having a pair of beach face and berm respectively. Mean sizes of berm gravel(45.5 mm -123.6 mm) are coarser than gravels of beach face (36.8 mm - 78.3 mm) in fair-weather zone. On the other hand, in storm-weather zone, gravels of berms (33.1 mm -82.5 mm) are finer than those of beachfaces (46.2 mm - 105.2 mm). The proportion of disc shaped gravels of berm (50.0% - 58.5 %) is higher than that of beachface (45.9 % - 51.3 %) in each subzone except C-group of storm-weather zone. And the proportion of the equant shaped gravel increases about up to 10% seaward. Therefore, shore-normal distribution of gravels seems to be affected by shape and size sorting effects. Shore-parallel distribution pattern of gravel shape is more distinctive than size distribution patterns. That is, disc and blade shaped particles decrease up to 20% and 13% respectively, and equants increase up to 34% to the westward. Gravels plotted on Sneed and Folk's triangular diagram are more compacted and elongated with decreasing size. Therefore primary gravels are shaped by characteristics of country rock e.g. cleavage, joint etc., and secondary are affected by sorting and size-controlled process evolution by wave a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