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Optimum Route Determination using Digital Terrain Model

수치지형모형을 이용한 최적노선선정에 관한 연구

  • 정영동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정남 (조선대학교 대학원) ;
  • 박성규 (조선대학교 대학원) ;
  • 김진기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공학과)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ffective model of the optimum route determination by using digital terrain model. So in this study I select testing areas and analyse comparing the usual method with the digital terrain model method. And then I present one of the optimum route determination models by analysing an anticipated view and other road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lan. In usual method, the selected area was analysed by using panoramic terrestrial and aerial photograph. But in this study I represent the present terrain by using digital terrain materials which was acquired by a check form map of the selected area, and predict the route line according to the view points by using basic development plan. As a result of using the digital terrain model method in the optimum route determination with terrestrial photograph,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terrain in detail when the present conditions terrain is analysed. As we can anticipated many sided road in large scale development plan with digital terrain materials which was used in analysing the present terrain, it is possible to lead to more effective route planning, landers planning and the optimum road determination than the usual method in the basic plan.

최근 국토의 효율적인 개발을 목적으로 신설도로의 건설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경제 개발사업이 시작되면서 국토개발이 활발히 추진됨에 따라 국토의 자연활경에 많은 손상을 가져 왔던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도로개발사업시 효율적인 최적노선을 창출하기 위해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종래 방법과 수치지형모형방법으로 구분하고 최적노선 선정시 현황지형, 토공량 변화에 따른 예측지형 및 주변경관해석의 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수치지형모형으로 노선계획시 토공량변화에 따른 예측지형 및 경관도를 작성할 경우 종래 조감도 및 투시도 방법보다 입체적이고 시각적이며, 대상지의 다양한 지형인자를 삽입하면 최적 노선선정시 토공량산정, 종·횡단면도 작성, 경관도, 조경도 등 모든 노선계획의 수치화가 가능하므로 도로 건설사업시 그 활용도가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