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hotoballoon System for Database Generation of Small Areas

소규모 지역의 자료기반 구축을 위한 Photoballoon 시스템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이재기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조재호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최석근 (경북실업 전문대학 지적과) ;
  • 이재동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In order to generate database, we need to obtain speedy and corret top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requisite purpose. Generally methods to an acquisition of topographic information are available by the use of maps, satellite images, stereo models of aerophoto and so forth. But we must choose a optimal method in consideration of area of object region, spatial solution of image, required accuracy and economic.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establish method of efficient topographic data base of small object region by means of spatial layer techniques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using acquisition of geo-information and production method of base map with photoballoon system to obtain topographic information for reasonable plan and design of object region which select a zone preparation of a collective village with small reg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decided an f-stop and a shutter speed of camera to obtain accurate stereo model and were able to obtain stereo photography and topography for small region by using of photoballoon system through accuracy analysis according to change flight height and air base speedly and economically. We can establish the data base useable to efficient plan and design as existence map with overlay plan drawing.

대상 지역의 자료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목적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지형정보를 얻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지형정보의 취득에 이용되는 방법에는 지도,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의 입체모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대상지역의 크기, 영상의 공간해상력, 소요정확도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대상지역인 농촌 정주권사업 계획 지구를 선정하여 Photoballoon 시스템을 활용한 지형정보의 취득 및 기본도제작 방법과 지형공간정보체계의 공간 중첩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소규모 대상지역의 효율적인 지형자료기반 구축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 대상지역의 정밀한 입체사진을 얻기 위한 Photoballoon 시스템의 최적 촬영조건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정확도 분석을 통해 소규모지역에 대한 입체사진 및 지형도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에 필요한 각종 계획을 수행함으로써 소규모지역의 효율적인 계획 및 설계에 활용가능한 자료기반을 구축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