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칼슘 수준이 콜레스테롤 첨가 또는 무첨가 고지방식 섭취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alcium Level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with or without Supplemental Cholesterol

  • 이연숙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가정학과) ;
  • 고정숙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가정학과) ;
  • 정금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가정학과) ;
  • 강현숙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가정학과)
  • 발행 : 1993.10.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숙한 흰쥐에게 동물성 포화지방(식이중 beef tallow로서 18%)과 식이에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지 않은 조건과 첨가한 조건(1%) 하에서 식이칼슘을 수준별로(식이에 0.1%, 0.5%, 1.5% 첨가) 4주간 동안 급여한 후 혈액과 조직의 지질함량, 소장내용물 중 지질의 분포 및 분중 지질배설량 등이 측정되었다. 그 결과, 콜레스테롤 무첨가의 고지방식을 4주간 급여한 경우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유발되지 않았으며, 식이칼슘의 투여효과도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콜레스테롤 첨가 고지방식을 급여한 경우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발이 가능하였다. 이때 식이칼슘의 투여효과는 식이칼슘의 수준 증가에 따라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가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식이칼슘 섭취 부족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효과(hypercholesterolemic effect)와 칼슘섭취 증가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hypocholesterolemic effect)가 인정되었다. 또 칼슘 섭취가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하나의 작용메카니즘으로서 콜레스테롤의 소화율과 장관내 흡수양상이 검토되었는데, 이때 분중 지질성분의 배설량은 고칼슘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콜레스테롤의 소화율은 저칼슘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것은 칼슘이 지질 성분의 배설을 촉진하므로서 지질 성분의 흡수를 저하시킨다고 하는 장관내 지질 흡수 메카니즘에 대한 “지질-칼슘 soap 형성”으로 칼슘의 역할이 설명될 수 있다. 본 과제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소장내용물의 지질과 칼슘성분의 존재양상은 지질 흡수와 칼슘의 상호작용을 보다 직접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었으나, 얻어진 결과에 대한 해석에는 아직 어려움이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alcium on blood and tissue lipids of adult rats fed a high fat diet with or without supplemental cholesterol for 4 week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8%(w/w) beef tallow and three levels of calcium 0.1%, 0.5% and 1.5%. The contents of total lipid,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blood, liver, small intestine, aorta, small intestinal contents and feces were determined. Only in rats fed the diets containing 1% cholesterol the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in aortic serum and various tissue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calcium intake. Another observation was that high Ca intake significantly facilitated the fecal lipid and cholesterol excretion and bowel mov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ssible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dietary calcium could be related to the hypercholesterolemia and to the increase in excretion of fecal lipid and cholestero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