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ling of Drift Prediction in Search and Rescue

수색 및 구조작업에 있어서 표류지점 추정의 전산화

  • 강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학과)
  • Published : 1993.03.01

Abstract

A key element of a successful search and rescue is the correct prediction of the target location. In this paper, new computer models for drift prediction are suggested from the analysis of several methods currently used in other countries.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the environmental data, users may select a model between the modified versions of U.S. Coast Guard CASP and FLENUMWEACEN SAR. Targets include boats, life rafts and person in water. Life rafts and boats are further classifed. New models are tested and compared with the limited number of field experimental results.

해난사고 발생시 수색구조 작업의 성공여부는 정화한 표류지점의 추정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외국에서 사용중인 표류지점 추정에 관한 여러가지 기법을 소개하였고, 이들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국내상황에 적합한 전산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해상 환경자료의 입력을 고려하여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해양정보시스템으로부터 정확한 환경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경우에 대비하여 FLENUMWEACEN 방식을 따른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불확실한 해수유동 자료와 현재 기상청의 해상풍 예보를 입력자료로 사용해야 할 경우를 고려하여 U.S. Coast Guard의 CASP 방식을 수정한 것이다. 모델에서 조난대상물은 사람, 구명정, 선박으로 분류하였으며, 구명정은 ballast와 canopy의 유무에 따라 세분하였고, 선박은 배수용적을 대, 중, 소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형태별 분류과정에서 과거의 모든 실험결과들을 재정리하여 새로운 leeway 값을 결정하였으며 제시된 모델들은 몇 개의 실제 현장실험 결과와 비교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