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Volume 9 Issue 2
- /
- Pages.151-170
- /
- 1993
- /
- 2234-6953(pISSN)
- /
- 2234-8190(eISSN)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Pisces, Cypriniformes). 2. Taxonomic Study on the Cobitis taenia complex from Korea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2. 한국산 Cobitis taenia complex의 분류학적 고찰
Abstract
Morphometric, band-pattern and electrophoretic analysis on Cobitis taenia complex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and genetic differentiation and to clarify their taxonomic status. Intermediate types of band-pattern (C and D type) were more frequently expressed than that of types of C. t. taenia(type A) and C. t. lutheri (type B). Sexual dimorphism of band-pattern was observed not only in C. t. taenia(type A) and C. t. lutheri(type B). Sexual dimorphism of band-pattern was observed not only in C. t. lutheri but also in C. t. taenia and C. t. striata as well.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based on 19 morphological characters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 taenia complex. The degree of genic variation of C. t. striata was higher ( =1.48, P=31.2%, HD=0.009) than those of C. t. striata was higher( =1.48, P=31.2%, HD=0.082 and HG=0.009) than those of C. t. lutheri ( =1.37, P=2.7%, HD=0.058 and HG=0.065). The average genetic similarities between C. t. lutheri and C. t. taenia-C. t. striata were S=0.62 and S=0.66 respectively and these values indicate that C. t. tanenia has evolved specific level of differentiation. C. t. striata and C. t. lutheri show subspecifc level of close genetic similarity (S=0.82). Based on the divergent time estimate (Nei, 1975) it is assumed that C. t. tanenia was branched off from the other subspecies about two million years before present (MYBP) and C. t. striata and C. t. lutheri were differentiated about 0.6 MYBP. The use of C. sinesis an the scientific name for the Korean C. t. taenia, proposed by Kim and Lee (1988) seems incorrect since they are quite different in the structure of lamina circularis (Vladycov, 1935), the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Cheng and Zheng, 1987) and the chromosome number(Yu et al., 1989). Kim and Lee(1988) also argued that C.t. striata and C. t. lutheri should be treated as distinct species but the present study and other reports (Kim and Lee, 1984; Kim and Yang, 1993) do not support it. We conclude that C. t. taenia is a good species and C. t. striata and C. t. lutheri are subspecific status. Their scientific names should be revised in the future.
한국산 기름종개 3 아종의 분류학적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 23개 집단을 대상으로 체측반문을 비롯한 형태형질 분석과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3 아종의 체측반문 변이 분석 결과 기름종개와 점줄종개에서는 각 아종 의 특정인 점열형 (A, B type: 14.5%)의 개체보다 중간형 (C, D type: 51.0%)의 빈도가 월등히 높았다. 기름종개 3 아종은 모두 암수간 체측반문 형태가 달리 발현되는 성적이형 현상이 뚜렷하였다. 형태계측 및 집단 판별분석에서 집단간 및 아종간의 뚜렷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자 분석결과 3 아종중 줄종개 5개 집단의 평균 유전적 변이가 A=1.48. P=31.2%. HD= 0.082 및 HQ=0.099로서 기름종개(A=1.37. P=24.7%. HD=0.058 및 HQ = =0.065) 및 점줄종개(A=1.43, P=27,0%. 매=0.066 및 HQ=0.079)에 비하여 높은 변이를 나타내었다 각 아종의 유전적 근연관계에 있어 기름종개와 줄종개 및 점줄종개의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 = O.64로서 일반적인 담수어류의 종간차이를 보였고, 줄종개와 점줄종개간은 S=0.82로서 아종 수준의 유전적 근연관계를 나타내었다. 체측반문 변이, 형태분석 결과 및 유전자 분석결과 기름종개는 타 두 아종과 약 200만년전에 분화된 별종으로 사료된다. 기름종개 (C. t. taenia)의 학명사용에 있어 이미 보고된 자료(핵형, 형태, 분포 등)들을 비교할 때 중국산 C. Sinensis와 많은 차이가 있어 한국산 기름종개를 중국산 C. sinensis Sauvage a and Dabry 의 synonym으로 보는 것은 타당성이 없다. 그러나 줄종개와 점줄종 개는 형태 및 유전적 특정등을 고려할 때 아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여겨 지며 앞으로 이들에 대한 학명의 재검토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