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erical Experiment for the formation of the Yellow Sea cold Water mass

황해저층냉수의 형성에 관한 수치실험

  • AN, HUI S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HYUN CHU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안희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 ;
  • 이현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
  • Published : 1993.06.01

Abstract

A simple three-dimensional cubic model is applied to the formation of the Yellow Sea Cold Water Mass in Summer. We studied how the tidal mixing and the Kuroshio Water Mass affect the formation of the Yellow Sea cold Water. The tidal mixing effect is parameterized into the vertical diffusion coefficient because of the technical difficulties in the numerical model In this study, the thermal front along the coast could be formed only by the tidal mixing effect. However, the southern front of the Yellow Sea Cold Water Mass has to consider the warm Kuroshio water. the resultant shows the opposit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upper layer and lower layer. the center of the model is warmer in the upper layer and colder in the lower layer than the coast. The resultant circulation pattern is also reverse, clockwise circulation in the upper layer and counter-clockwise circulation in the lower layer.

하계에 나타나는 황해저층내수에 간단한 3차원의 육면체 모델을 적용하여, 조석의 혼합작용과 쿠로시오수괴가 황해저층냉수의 형성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연구에 서는 수치모델의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조석의 혼합작용을 연직혼합계수로 매계변수화 하였다. 또한 연안을 따라 나타나는 수온전선은 조석의 혼합작용에 의해서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황해저층냉수의 남부에 나타나는 수온전선의 형성에는 고온의 쿠로시오수괴 를 고려하였다. 수치실험의 결과, 모델의 상층과 하층에서 수온분포의 영향이 반대로 나타났다. 상층에서는 모델의 중앙부에서, 하층에서는 연안해역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고온의 수온분포가 나타났다. 해수의 순환형태 역시 상층과 하층 사이에 반대로서, 상 층에는 시계방향이, 하층에는 반시계방향의 순환이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