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토지정보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roducing Parcel-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 발행 : 1993.09.01

초록

1980년대 후반부터 시설물관리기관과 지방도시들이 시설물관리차원의 도형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전국토에 대한 정밀하고 통일된 도형기초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였다. 1990년대가 되면서 부터는 국토관리와 이용 및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국토정보시스템 구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현행도면중 최대축척인 지적도를 도형기초로 하고 지적도의 지번정보를 이용하여 행정, 체신, 통계 등과 연계할 수 있는 종합토지정보시스템(Parcel-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구축을 위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The need for unified graphic base with high accuracy for nation¬wide is emerging since many facility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s have been taking steps for introduc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s from the late of 1980's. A major finding of the above efforts was the importance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Land Information System supporting all land management and use, administration purpose and effective decision-making. So to meet the recent need and to prepare future information society, a study is going on progress for in t roduc i ng Parce I-Based Land In forma t ion Sys tern based on I arge-sca I e cadastral graphic data and parcel information, capable to link with admini¬stration, communication, statistics et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