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체 문서의 문자영역에서 한글과 한자의 구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into Hangeul and Hanja in Text Area of Printed Document

  • 심상원 (광운대학교 전자계산기공학과) ;
  • 이성범 (대유공업전문대학) ;
  • 남궁재찬 (광운대학교 전자계산기공학과)
  • 발행 : 1993.06.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문서인식시스템의 문자인식부에서 각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인 한글과 한자를 구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자의 구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쓰기형태와 글자체에 따라서 변동을 흡수할 수 있는 9가지의 한자 특성을 제안하고, 문자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문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문자 크기에 따른 비율을 제안된 각 특성에 반영하여 문자의 구별을 행하였다. 입력된 문서 제안한 9가지의 한자 구조적 특성을 조사하여, 한글과 한자로 구별한다. KS-C5601의 한글 2350자와 한자 4888자의 고딕, 명조체에 대하여, 실험결과는 인쇄 표본, 신문, 학회지, 잡지 교재에서 각각 98.8%, 92%, 96%, 98%, 98%을 얻었다.

This paper propose an algorithm for preprocessing of character recognition, which classify characters into Hangeul and Hanja. In this study, we use the 9 structural chacteristics of Hanja which isn't affected by deformation of size and style of characters and rates based on character size to classify characters. Firstly, we process the blocking to segment each characters. Secondly, on this segmented characters, we apply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to classify Hangeul and Hanja. Finally, we classify characters into Hangeul and Hanja, respectively. An experiment with 2350 Hangeul and 4888 Hanja printed Gothic and Mincho style of KS-C 5601 are carried out. We experiment on typeface sample book, newspapers, academic society's papers, magazines, textbooks and documents written out word processor to obtain the classifying rates of 98.8%, 92%, 96%, 98% and 98%, respec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