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용인 -안성 지역 산사태 연구

A Study on Yongin -Ansung Landslides in 1991

  • 박용원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감래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여운광
  • 발행 : 1993.12.01

초록

이 논문은 1991년 7월 21일에 경기도 용인군과 산사태에 대한 자료 및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2600여 개소에 산사태 면적이 466ha 이상이었다. 한 산사태는 단시간의 집중호우에 의하여 유발된 안성군 일부 지역에 집중호우에 의하여 발생한 작성한 것이다. 이 지역의 산사태 발생규모는 조사 결과 밝혀진 바에 의하면 이 지역에 발생 것으로서, 당일우량이 114mm이상이고 최대시 우량이 40m 이상인 지역(면단위)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였으며 최대시우량이 62mm 이상인 지역은 모두 산사태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달봉산 일대에 대한 현장조사에 의한 형태학적 검토에 의하면,활동깊이 비(D/L)를 사용하는 Walker의 분류법을 사용했을 때, 20%가 평행활동, 50%가 유동 형태로 분류되었으며 30%는 유동과 활동의 중간형태였고 회전활동으로 분류되는 것은 거의 없었다. 산사태의 90%이상이 사면 경사 20$^{\circ}$-40$^{\circ}$, 활동사면길이 50m이하에서 발생하였고, 사면활동시발점은 50%가 7부 능선 이상 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서는 수종에 따르는 삼림의 산사태 억제효과상 차이를 볼 수 없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f the rainstorm induced landslides occurred in the districts of Yongin, Ansung and Osan on July 21st 1991. More than two thousand and sirs hundred landsilides took place during or after a 3-t hours heavy rainfall and about 466 ha mountain slopes were affected by slope failures. The result of study on the effect of-iainfall on landslides shows that landslides began to occur where daily and maximum hourly rainfall exceeded 114mm and 40mm respectively, and all districts (myun) where maximum hourly rainfall exceeded 62mm were affected by landslides. The morphological study on landslides on Talbongsan area reveals that, by Walker's classi fication using D IL(failure depth ratio), 50% of the landslides were classified as flows, 20% of them as translational slides, and 30% were between flow and slide and there were few rotational slides. Over 90% of landslides tookplace at slopes of 20$^{\circ}$-40$^{\circ}$ in slope and 50m or shorter in length And more than 50% of the crown of slides locates at higher than 0.7 times of slope hight. Any differences between the kinds of tree in landslide resisting effects are shown in this cas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