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ring Capacity of Model Open -Ended Steel Pipe Pile Driven into Sand Deposit

모래지반에 타입된 모형 개단강관 말뚝의 지지력 분석

  • 백규호 (한국과학기술원 토목공학과) ;
  • 이종섭 (한국과학기술원 토목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토목공학과) ;
  • 이승래
  • Published : 1993.03.01

Abstract

Model tests in calibration chamber with open -ended steel pipe pile have been performed in sand deposit to clarify effect of soil plug on bearing capacity, load transfer mechanisms in soil plug, and behavior of soil plug under dynamic and static conditions. Model piles were devised so that bearing capacity of open -ended pile could be measured separately into outside skin friction, inside skin friction due to soil plug -pile interaction and end bearing force on the section of steel pipe pile. It may be concluded, form the test results, that the plugging level of open -ended pile is more correctily defined by specific recovery ratio, y, rather than by plug length ratio, PLR, and the major part of inside skin friction is generated within the range of three times as long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pile from the pile tip. The ratio of inside skin friction to total bearing capacity is much larger than that of outside skin friction to total bearing capacity. Therefore, the bearing capacity of pile could not be well predicted, unless the inside skin friction is properly taken into account.

말뚝이 설치되는 동안과 하중이 재하되는 동안에 유발되는 관내토의 거동과 관내토가 개단 말뚝의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관내토의 하중전이 메카니즘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단말뚝의 단면부에 작용하는 지지력과 관내토에 의한 지지력 및 외주면마찰력을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제작된 모형 개단강관말뚝과 압력조절이 가능한 토조를 이용하여 모래지반을 대상으로한 모형말뚝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개단말뚝의 폐색정도는 폐색길이비(PLR)보다는 특정회수율(${\gamma}$)에 의하여 더 정화히 성의될 수 리음을 알 수 있으며, 내주면마찰력의 대부분은 말뚝 선단부로부터 말뚝내경의 3배까지의 영역에 존재하는 관내토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지지력에서 내주면마찰력이 차지하는 비율은 외주면마찰력이 차지하는 비율보다 상당히 크기 때문에, 개단말쪽의 지지력 산정시 내주면마찰력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