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Nitrogen and Growth Regulators on Dormancy, Protein and Nucleic Acids Contents in Mulberry Varieties

질소 및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뽕나무의 단백질, 핵산함량 및 휴면의 변화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Winter dormancy of the mulberry(Morus species) in Suwon was investigated with regards to mulberry varieties, such as Kaeryangppong, Daeryunppon, Yongchionppong and Hongolppong application of fertilizers and growth hormone. In general, It initiated at late September and it subsequently became deeper and reached the highest degree through late October to early November. After that early November it gradually turned into the breaking state and was terminated by late November. Intensity and duration of dormancy were lower and shorter in Kaeryangppon. The standard application of N. P. K(30-13-18kg/10a) affects it delayed, but terminated earlier. On the other hand, the double amount of nitrogen affects the dormancy fast, but terminated late. The treatments of GA3 at the early and termination stages increased the bad sprouting. The contents of RNA and protein in the bark gradually increased as the dormancy becomes deeper.

뽕나무의 계통별, 품종별 질소비료의 시비량, 그리고 생장조절 물질 등을 처리하고 휴면기간 및 그 강도를 조사하였다. 한편 휴면과 관계가 깊은 단백질, RNA 함량을 경시적으로 분석하여 뽕나무 휴면상황과 단백질 및 핵산과의 관계를 구명코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원지방에서의 휴면은 9월 하순부터 11월 상순까지 깊은 휴면에 들어가는데 이중 10월 하순부터 10월 상순까지 최심휴면을 유지하였으며 11월 상순 이후부터는 각성되기 시장하겨 11월 하순에 점차 휴면이 타파되었다. 2. 표준 시비를 한 뽕나무에 비하여 질소질을 배가한 뽕나무의 발아율이 증가하여 휴면 발현이 지연되었으며, 각성초기인 11월 상순경부터 발아율이 다시 증가하였다. 3. 뽕나무 지조에 GA3 10ppm, NAA 0.02%, ABA 100ppm을 처리한 결과 GA3 처리는 발아율의 증가되어 휴면의 억제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며 NAA는 별 차이가 없었다. 4. 뽕나무 지조 피부와 단백질 함량은 휴면초기부터 휴면이 타파될 때까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품종간에 있어서는 용천뽕이 가장 많았으며, 대륙뽕은 가장 적었다. 5. 피부의 RNA함량의 변화는 단백질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품종간에 있어서는 용천뽕의 RNA 함량이 가장 많았다. 반면 DNA 함량은 RNA에 비하여 훨씬 적었으며 품종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