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water Conditions reiated with the Geologic Structures of Bedrocks in the Gyuk-Po Area.

격포 기반암의 지질구조와 지하수 상태

  • Published : 1993.09.01

Abstract

Hydrogeological survey related to groundwater condifiors was performed at the study area in Gyukpo, BuanGun, ChunlabukDo to expr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undwater conditions and the geologic structures such as joints, faults and beddings in bedrock About 200 joints and sjgnfficant faults were measured in this area. Typically, The fracture analysis on cores of 7 boreholes was tried to quantify fracture numerically. Groundwater level was periodically measured for three months. The packer tests of about 175 were carried out in 7 boreholes. As the result, Fractures are locaHy developed as ground water bearing zone and an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y of bedrock is $1{\times}10^{-5}cm/sec$ in this area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is area is correlated with fracture frequency value of F15 and is also well correlated with fracture developed and depth. In accordance with depth, fracture frequency and hydraulic conductivity are decreased. Hydraulic conductivity of granite along depth shows an obiouse change in values but that of sedimentary rocks do not shows changeless. Groundwater movement in the bedrocks of the study area affected not by joints but faults developed in the different rock boundary. In the northern part of this area, The differences of hydraulic conductivity between granite and sedimentary rocks give rise abrsspt at difference in groundwater leveL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tudy area, there is no different in groundwater level of both same rock types.

기반암내에서의 지하수의 상태와 열극, 단층 그리고 층리면가 같은 지질구조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부안군 격포지역 일대에서 수리지질조사를 수행하였다. 약 200개의 열극과 단층등이 이 지역의 제한된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특히, 7개의 시추공에서 얻어진 시추코아에 대한 열극분석(Fracture Analysis)을 수행하여 수치화해 보았다. 3개월간의 주기적인 지하수위 측정과 7개의 시추공에서 약 175회의 현장 투수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지역의 기반암은 대수층 역할을 할 수 있을만큼 절리가 발달했으며 투수계수는 $1{\times}10^{-5}cm/sec$이고, 이는 Fracture Frequency Value, F15의 값과 대비되고, 열극의 발달상태 및 심도와 대비되었다.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서 열극의 발달이 불량해지고 투수계수도 낮아짐을 알 수 있다. 퇴적암과 화강암지역의 심도에 따른 투수계수에 있어서, 화강암은 심도에 따른 변화의 양상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으나 퇴적암지역은 일정하게 변화가 없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기반암에서의 지하수의 유동과 수위는 열극의 방향성보다는 단층에 의해서 서로 다른 암종경계특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즉, 본 북부지역에서의 화강암과 퇴적암의 암종경계에 존재하는 단층에 의한 두 지층의 투수계수 차이는 지하수위의 갑작스러운 변화를 야기시키고 남부지역에서는 투수계수가 같은 동일 암종에서 단층이 존재하여도 지하수의 유동방향 및 수위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