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iscussion of the Two Alternative Methods for Quantifying Changes : by Pixel Values Versus by Thematic Categories

변화의 정량화 방법에 관한 고찰 : 픽셀값 대 분류항목별

  • 정성학 (임업연구원 산림경영부)
  • Published : 1993.06.30

Abstract

In a number of areas, there are important benefits to be gained when we bring both the detection and monitoring abilities of remote sensing as well as the philosophical approach and analytic capabilities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bear on a problem. A key area in the joint applications of remote sensing technology and GIS is to identify change. Whether this change is of interest for its own sake, or because the change causes us to act (for example, to update a map), remote sensing provides an excellent suite of tools for detecting change. At the same time, a GIS is perhaps the best analytic toot for quantifying the process of change. There are two alternative methods for quantifying changes. The conceptually simple approach is to un the pixel values in each of the images. This method is practical but may be too simple to identify the variety of changes in a complex scene. The common alternative is called symbolic change detection. The analyst first decides on a set of thematic categories that are important to distinguish for the application. This approach is useful only if accurate landuse/cover classifications can be obtained. Persons conducting digital change detection must be intimately familiar with the environment under study, the quality of the data set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detection algorithms. Also, much work remains to identify optimum change detection algorithms for specific geographic areas and problems.

여러 분야에 있어서 원격탐사의 탐지 및 모니터링 기능과 지리정보시스템의 이성적 접근 및 분석기능을 접목함으로써 이에 의한 많은 효과를 얻고 있다. 원격탐사기술 및 지리정보시스템을 접목하는 데에 있어서 핵심적인 응용분야로는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변화가 그 자체로 관심의 대상이 되거나, 또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는 (지도를 개정하는 등의) 행동을 취하게 되기 때문에 원격탐사는 변화를 탐지하는 데에 있어서 훌륭한 도구가 된다. 지리정보시스템 또한 변화의 과정을 정량화 하는 최상의 분석도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를 정량화 하는 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개념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는 각 이미지의 적셀 값을 비판하는 것이 있다. 이 방법은 실질적인 반면 (적용이) 단순하여 복잡한 (자연) 환경에서의 다양한 변화를 분석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기호변화탐지가 있다. 분석자는 먼저 판별하고자 하는 중요한 분류항목들을 결정한다 이 방법은 토지리용 및 피복도가 정확하게 구분이 된 다음에야 효과적일 수가 있다. 디지탈 변화탐지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람은 조사대상지역의 환경, 데이타 세트의 질 그리고 변화탐지 알고리즘 등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특정지역 및 (추진하고자하는) 과제에 적합한 변화탐지 알고리즘을 파악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