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of Radiation Therapy of Cerebellar Medulloblastoma - with Emphasis on the Neuraxis Dose -

전중추신경계 조사선량을 중심으로 한 수아세포종의 방사선치료성적

  • Kim Joo Young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Il Han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 Sung Whan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arn Il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주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김일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하성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박찬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3.06.01

Abstract

Treatment of cerebellar medulloblastoma has been much improved with modern surgical technique for gross total tumor removal and adequate radiation therapy for the whole craniospinal axis. Questions have been arosen about the optimal radiation dose for the preventive treatment of whole cranium and whole spinal axis. Recently, many authors have reported their treatment results as comparable to older data, using lower than conventional dose of 3,600 cGy-4,000 cGy. For 50 patients treated between 1981 and 1990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Therapy of SNUH,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for the treatment result, especially the neuraxis control, by radiation dose for the presymptomatic area of the disease. Analysis only by total spinal dose did not gi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ut further analysis by following patient group; 3,600 cGy/150 cGy (n=6), 3,000 cGy/150 cGy (n=10), 2,400 cGy/150 cGy (n=17) and 2,400 cGy/100-120 cGy (n=1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neuraxis control by decreasing order (p =0.00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between the groups. For the 19 patients who had been confirmed initially as having no neuraxis disease, TDF 30 was the cur-off value that could prevent neuraxis failure (p =0.004). We couldn't define any TDF value that give reasonable control for the patient group with positive CSF study at initial diagnosis.

후두와에서 발생하는 수아세포종은 육안적 전 종양적출술후 전 중추신경계와 원발부위에 적절한 양의 방사선을 조사 함으로써 $50{\~}60{\%}$의 장기생존율을 보이는 종양이다. 일반적으로 후두와에 5,000 cGy 이상의 고선량을, 그리고 전중추신경계에는 $3,600{\~}4,000cGy$의 방사선 조사량을 사용하므로써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최근 장기무병 생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방사선치료로 인한 신경학적 합병증 및 성장, 지능장애의 문제들이 대두되어 많은 저자들이 예전보다 적은량의 방사선을 사용하여 그와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1981년부터 1990년도 까지의 5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여 전중추신경계의 조사선량에 따른 치료성적을 분석해 보았다. 50명 환자중 분석 당시 NED 상태였던 21명에서의 관찰기간은 12개월에서 134개월이었고 그 중앙값은 71개월이었다. 한명을 제외한 모든환자에서 예방적 중추신경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척추조사선량은 7명에서 3,600 cGy, 14명에서 3,000 cGy, 그리고 29명에서 2,400 cGy가 조사되었다. 2,400cGy 조사군을 다시 fraction size로 세분하여 보았을 때 네 치료군 사이에서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Neuraxis control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항상을 보여주었다(p=0.003). 치료중 휴식기간과 fraction size를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척추조사선량을 TDF 값으로 환산하였을 때 진단당시 neuraxis disease가 없었던 환자에서는 TDF 30이 통계학 적으로 의미있게 (p=0.004) neuraxis control을 좌우하는 값으로 보였다. 진단당시 neuraxis disease가 있었던 군에서는 neuraxis control을 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는 정확한 TDF 값을 발견할 수 없었다.단점의 분포를 보이고, 암 세포에서 드물게 이상을 나타내는 13, 15및 21번 염색체에서는 기대치 보다 감소된 절단점의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 후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증가되었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나타나는 염색체의 절단점의 분포는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X>$r^2=0.996,\;x^2=7.6834$, p=0.11 였다. 이를 linear-quadratic model로 분석하면, 가장 적합한 선은 감마선인 경우에는 y= ($0.31{\pm}0.049)\;D+(0.0022{\pm}0.0002)\;D^2+(13.19{\pm}1.854$) 였으며, 중성자선인 경우에는 y=($0.99{\pm}0.528)\;D+(0.0093{\pm}0.0047)\;D^2+(13.31{\pm}7.309$) 였었다. 감마선에 대한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 (RBE)는 y=aD+$bD^2$+c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변형시켜 계산하였다. $$\frac{[-a{pm}\sqrt{a^2-4b\;(c-y}}]}{2{\times}6}$$ 미세핵 발생빈도가 세포당 0.05와 0.8사이에서의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는 $2.37{\pm}0.17$ 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선량에 따른 미세핵 발생빈도는 기존의 방사선 감수성 test의 결과와 대동소이하여, 앞으로 방사선 감수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실험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며 짧은 시간에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생물학적 선량측정 도구로써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성징을 나타내는 rudimental processes에 의해 가능하였다. 수컷은 성적 성숙이 후기 유생기로부터 7개월 후에 이루어지며, 이때의 크기는 체장 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