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혈안신탕(補血安神湯), 가미보혈안신탕(加味補血安神湯)의 항(抗) stress효과(效果)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 이동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지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황의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발행 : 1993.07.07

초록

Human and animals are living by acclimation to environmental changes like high and cold temperature, nose, confinement, etc. If the above changes reach a defined levels, some physiological abnormal state could appear, which we call them as stress state. Catecholamines are excreted by the sympathetic-adrenomedullary system in free from in urine. Catecholamines are derived from the adrenal medulla and urinary epinephrine can be taken as a rough estemation of the activity of this gland. Many scientist reported the endocrinological change, excretion of catecholamine and its metabolites, stomach ulcer formation, etc. under the condition of the confinement and high temperature. In this study author gave restraint, electric shock and immersion stress to rats by administrating by HPLC and got the following results. 1. In the restriant experiment, epinephrine contents in control rat was 194.7 ng, but in Bohyulanshintang administered rat urine 198.9 ng of epinephrine was found. 2. In the electrical shock experiment, 199.5 ng of epinephrine was found in the control rat urine, but in Bohyulanshintang administered rat urine epinephrine content was 142.4 ng. 3. Dopamine contents in control rat urine the immersion environment was 118.9 ng, but in Bohyulanshintang administered rat urine only 55.2 ng of dopamine was found. 4. Incontrol rat stomach there appeared focal erosion and inflamatory exudate, but in experimental group these symptom were turned to mild cond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경희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歸脾湯의 抗 stress 效果에 對한 實驗的 考察 文충模
  2. 경희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情緖變化와 膽과의 相關性에 關한 실험적 연구 宋點植
  3. 경희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거痰淸心湯의 stress 抑制效果에 關한 實驗的 硏究 張昌圭
  4. 經史證類大觀本草 唐愼微
  5. ストレス 宮城音彌
  6. 公衆衛生 v.46 騷音の生體に與える影響 吉田敬一
  7. 久留米醫學會維誌 v.45 反復拘束ストレスのラット腦內ノルアトレナリン 代謝に及ぼす影響 帆秋善生
  8. 日本消化器病學會誌 v.79 胃粘膜血流, 酸素分壓及びエネルキ一代謝かちみた實驗的 ストレス叢療の 業生機序 長谷川(外)
  9. ストレスとは 田多井吉之介
  10. 和漢醫藥學會誌 v.2 メテラポソと加熱ストレス處置によるラットの血歷上昇を抑制する黃栢の效果 葉川(外)
  11. 가틀릭대학의학부논문집 v.9 寒冷 에 曝露한 마우스의 直腸溫度에 미치는 人蔘, 코티존 및 크롤프로 마진의 영향 金正鎭
  12. 경희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Stress 에 依한 白鼠 血淸中 glucose 및 酵素에 對한 加味逍遙散 의 效果 金貞烈
  13. 경희의학 v.1 丹參補血楊 및 保和湯이 胃潰瘍에 미치는 영향 朴東源(外)
  14. 가톨릭대학 의학부 논문집 v.17 인삼이 정상 및 stress를 받은 생쥐 위장관 점막상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방사법적 연구 서병호;정일천
  15. 조선대학교대학원 학위논문 스트레스에 依한 肝細胞 및 副腎의 病埋組織學的 硏究 서재홍
  16. 綜合醫學 v.13 no.93 고려 인삼이 외상적 stress를 받은 흰쥐의 부신 아스코르반산에 미치는 영향 鮮于昌(源)
  17. 神經精神醫學 v.21 腦脊腕液內의 norepine-phrine, epinephrine 및 dopamine의 定量法 孫昌福(外)
  18. 申氏本草學 申佶求
  19. 항공의학 v.28 Gravitational Stress 에 對한 교감신경 부신계 반응에 관한 연구 신상구(外)
  20. 신경정신의학 v.21 스트레스의 정도와 정동장애 심상호
  21. 最新醫學 v.24 no.59 痙攣性 腦電氣 衝擊이 reserpinized rat brain 內의 no-repinephrine, dopamine 및 ser-otoonin 含量에 미치는 影響 禹鍾仁;金明石
  22. 가톨릭대학의학부논문집 v.15 no.1 人蔘이 正常흰쥐 및 X-線 照射를 받은 흰쥐皮膚肥滿細胞에 미치는 영향 劉一晟
  23. 最新醫學 v.24 no.71 인삼이 운동부하로 인한 비만세포 변동에 미치는 영향 유철(外)
  24. 東醫學의 方法論 硏究 尹吉榮
  25. 경희한의대 논문집 v.6 化痰,溫胃 및 養血療法이 實驗的 胃潰瘍에 미치는 영향 尹泰汝
  26. 本草學 李尙仁
  27. 가톨릭대학의학부 논문집 v.14 人蔘이 正常 흰쥐 및 X-線 照射를 받은 흰쥐의 腸크롬親和細胞에 미치는 영향 李相漢
  28. 漢陽大學校大學院 학위논문 스트레스가 短期記檍에 미치는 影響 이수식
  29. 가톨릭대학의학부 논문집 v.15 더위에 폭로된 흰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고려인삼의 영향 및 스트레스 기전에 있어서의 고려 인삼의 작용점 李鍾秀;金喆
  30. 가톨릭대학 의학부 논문집 v.4 Stress 時의 副腎皮質에 對한 形態組織學的 再檢討 李鎬永
  31. 대한의학협희지 v.24 人蔘이 副腎皮質機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臨床的 硏究 張潤錫
  32. 가톨릭대학 의학부 논문집 v.14 人蔘 抽出物이 X-線 照射에 依한 흰쥐 腸크롬親和細胞 傷害에 미치는 영향 鄭元植
  33. 고려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스트레스와 그에 대한 對應 反應에 관한 고찰 정태경
  34. 가톨릭대학의학부 논문집 v.23 소음 및 진동 stress가 흰쥐 순환호산구와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영향 진항기;이태준
  35. 漢方臨床學 蔡仁植
  36. 最新醫學 v.16 no.54 Stress 가 家兎肝 Fat storing cell에 미치는 影響 崔英姬(外)
  37. 心身症 黃義完
  38. 東醫精神醫學 黃義完;金知赫
  39. 東洋醫學 v.1 神經症 疾患에 應用되는 補血安神湯의 臨床的 考察 黃義完
  40. 最新醫學 v.10 고려 인삼이 더위에 폭로된 흰쥐의 부신 아스코르빈산 함유랑에 미치는 영향 許創龍(外)
  41. 가톨릭대학의학부 논문집 v.12 고려인삼이 더위 혹은 추위에 폭로된 흰쥐의 부신 아스코르빈산 함유량에 미치는 영향 許創龍;金喆
  42. 中藥大辭典 江蘇新醫學院
  43. 中草藥學 上海中醫學院
  44. 增補本草備要 汪昻
  45. 本草綱目 李時珍
  46. 黃帝內經 張;馬合註
  47. 中國醫學匯海 卷一(神農本草經) 蔡陸仙
  48. 生業掌雜誌 v.3 no.2 向神經性天然藥物の探索におけゐマヶス拘束水授ストレス證據法の庶用 山崎幹夫;代田露
  49. 新版ストレス 田多井吉之介
  50. 日本消化器病學會誌 v.80 no.5 水漫拘束ストレス下における胃粘精膜血流低下に及ぼす 血液點度 の影響 村上(外)
  51. Pathophysiology of peptic ulcer. Bonfils, S.;Lambling, A.
  52. Cannon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the stress by Tom Cox. Cannon, W.B.
  53. Physiological Reviews. v.48 En-docrinological aspects of exposure to high environmental temperatures Collins, K.J.;Weiner, J.S.
  54. Stress. Cox, T.
  55. Per-cetp. mot. Skills. v.30 Catecholamine output during relaxation and anticipation. Frankenhaeuser, M;Rissler,A.
  56. Am. JPhysiol. v.206 Urinary adrenaline and noradrenaline response to simulated weightless state. Cordall, McC;Mccally, M.;Craveline, D.E.
  57. Japan Kurume Medical socieiy. v.45 Changes in noradrenaline metabolism in rat brain regions by psychological stress. Iimori, K.
  58. J. chronic Dis. v.24 Association of coronary prone behaviour scores with recurr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Jenkins. C.D.(et at.)
  59. Endocrinology. v.87 Adrenal and urinary catechola-mines in rats during adaptation to repeated immobilization stress Kvetnansky, R.;Mikulaj. L.
  60. Recent progress in hormone research v.1 Pincus, G.
  61. Gastroenterology . v.66 Mechanism of stress ulcer; Influence of hypovolemic shock on energy metabolism in the gastric mucosa. Rene Menguy;L. DesbaiIBets;Y.F. Masters
  62. Am.J. med. Sci. v.243 Emotional stress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american physicians, dentists, lawyers. Russek, H.I.
  63. Canada. Acta. Inc. Stress. Selye, H.
  64. Amer. J. Physiol. v.221 Catecholamine and metilbolite excretion in col-d-stressed immunosympathecto-mized rats. ShLinl. A.;Johnson, G.E.;Flattery, K. V.
  65. Chem. Pharm.Bull. v.14 Watanabe,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