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lus Induc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in Suspension Culture of Rehmannia glutinosa

지황의 캘러스 유도와 현탁배양에서 체세포배 발생

  • Chae, Young-Am (Agronomy Department and Research Center for New Biomaterials in Agricultur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Sang-Un (Agronomy Department and Research Center for New Biomaterials in Agricultur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채영암 (서울대학교 농학과, 농업생물신소재연구센터) ;
  • 박상언 (서울대학교 농학과, 농업생물신소재연구센터)
  • Published : 1993.09.22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medium and constitutionof growth regulators for somatic embryogenesis for development of rapid mass propagation system via somatic embrygenesis in Rehmennia glutinosa.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from leaf explant was more effective when 4mg / l BA with 0.5mg / l NAA than that of treated with only auxins or cytokinins. LS medium was suitable for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LS medium with 4mg / l BA with 0.5mg / l NAA was effective for the maintenance and proliferation of embryogenic callus. In suspension culture, addition of 1mg / l BA to LS medium was proper for somatic embryogenesis. The highest rate of shoot developement form cotyledon stage embryo was obtained in 1/2 LS medium and plantlet survived by 75% after transplanted to the soil. after 4 weeks.

1. 지황의 잎 조직에서 캘러스 유도는 옥신류와 사이토키닌류의 단독처리보다는 BA와 NAA를 혼합처리하는 경우에 캘러스 유도가 잘 되었다. 2. 옥신류의 embryogenic 캘러스 유도는 5% 정도로 극히 낮았으나 사이토키닌류를 처리한 경우는 $40{\sim}55%$로 높아졌다. 3. BA 4mg/1 NAA 0.5mg/1 처리에서 embryogenic 캘러스 유도가 가장 양호하였다. 4. 배지 종류별로는 Linsmaier-Skoog배지가 embryogenic 캘러스 유도와 유도량이 가장 많았다. 5. Embryogenic 캘러스 유지도 BA 4mg/1과 NAA 0.5mg /1 처리 에서 가장 효과적 이었다. 6. 계대배양 회수가 증가할수록 캘러스 생장량은 증가하였지만 embryogenic 캘러스 빈도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7. 현탁배양시 체세포배 생산은 BA 1mg/1처리 에서 가장 많았다 8. 체세포배에서 식물체 분화는 식물 생장조절제가 처리되지 않은 1/2 LS기본배지에서 가장 잘 되었으며 토양활착율은 75% 정도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