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ation of Interaction of Herbicides on Principal Paddy Weeds - By Use of Oxyfluorfen and Bensulfuron-methyl Data -

주요(主要) 논 잡초종(雜草種)에 대한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 해석연구(解析硏究) - Oxyfluorfen과 Bensulfuron을 예(例)로 -

  • Han, J.H. (Coll. of Agric., Chonnam Nat'l University) ;
  • Guh, J.O. (Coll. of Agric., Chonnam Nat'l University) ;
  • Chon, S.U. (Coll. of Agric., Chonnam Nat'l University) ;
  • Kwon, O.D. (Coll. of Agric., Chonnam Nat'l University)
  • Published : 1992.06.30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terprete methods and examine the feasibility of mixture use of oxyfluorfen and bensulfuron in controlling principal Paddy weeds, annuals and perennials. Application ratio of both chemicals were obtained from the combinations of 5 levels(0, 5, 10, 15, 20 g ai/ha) of each chemicals, respectively. All the treatments were applied at 5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water was maintained at 3.0cm in depth. Shoot fresh-weight of weeds was assessed at 35 days after treatments. Data obtained was analysed by Colby, Isobole, Calculus, Regression and EQM method,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variance on the principal weeds treated with oxyfluorfen and bensulfuron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at 1% level on both Echinochloa crus-galli and Eleocharis Kuroguwai, and total species at 0.5% level on both Potamogeton distinctus and Cyperus serotinus, but non significant on Scirpus juncoides and Sagittaria pygmaea. Thereafter, the results of the models applied to Echinochloa crus-galli, Eleocharis kuroguwai and total species were as follows ; 1. The Colby method gave values nearly identical to regression estimate method (both multiplicative models) as provided by Akobundu et al. The Colby method and Regression method indicated synergistic toward Echinochloa curs-galli, and total species, but antagonistic toward Eleocharis kuroguwai. 2. The Isobole method shows synergism on Echinochloa crus-galli at $ID_{50}$, and total species at $ID_{60}$ on Eleochari kuroguwai. 3. The Calculus method gave positive signs for the first differentiation and negative signs for the second differentiation except for some rates on Echinochloa crus-galli and total species, but reverse on Eleocharis kuroguwai. These result does not agree with the observed values. 4. ${\theta}$ value from the EQM method was greater than one at all combinations. This result wa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methods. 5. The various models did not show the same results, but mixture of oxyfluorfen and bensulfuron tend to have synergistic effect. Weeding effect also was high. Treatment in terms of two chemical combination was expected to reduce rates, and to enhence weeding efficacy compared with single treatment.

Bensulfuron-methyl은 생이활성(生理活性)이 특히 높고 제초(除草) spectrum이 큰 것으로 알려져 주요 논잡초방제에 사용되고 있으나, 피 및 올방개 등에 대한 방제효과(防除效果)는 다소 미흡하다. 따라서 이들 잡초종(雜草種)에 대한 선택적(選擇的) 작용력(作用力)이 비교적 큰 동시에 다른 약제의 흡수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oxyfluorfen과의 혼합사용(混合使用) 가능성(可能性)을 찾고자 oxyfluorfen 0.25% 입제(粒劑)와 bensulfuron 0.15% 입제(粒劑)를 각각 0, 5, 10, 15, 20g ai/ha수준의 16 혼합조합(混合組合)을 공시(供試)하였다. 일년생과 다년생 주요 잡초종(雜草種)을 대상으로 수도(水稻) 이앙후(移秧後) 5 일에 각각 처리하였으며, 처리한 35 일후에 지상부 생체중(生體重)을 조사하여 각각 처리에 대한 방제율(防除率)을 산정하였다. 두 약제 의 혼합사용(混合使用) 가능성(可能性)은 여러가지 "Joint action model"을 이용하여 두 약제의 상호작용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하는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각초종에 대하여 분산분석(分散分析)한 결과, 피와 올방개 및 잡초 전체에 대해서는 1% 유의수준(有意水準)에서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가 인정되었으며 가래와 너도방동사니는 5% 유의수준(有意水準)에서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물달개비, 올챙고랭이, 올미 등은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가 인정되지 않았다. 피와 올방개 및 전체초종을 대상으로 혼합모델들을 적용시킨 결과 전체적으로 Colby method와 Regression method는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Calculus method는 해석상(解析上)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는 이들과 큰 차이가 없었다. Isobole method는 일정한 $ID_X$에서만 상호작용해석(相互作用解析)이 가능하므로 천체적인 약량범위(藥量範圍)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해석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의 합리적인 잡초방제(雜草防除)를 만족시킬 수 있는 $ID_{30}$ 이상의 Isobole은 작성할 수 없었다. EQM의 경우 ${\theta}$값의 범위(範圍)에 따라 상호작용(相互作用)의 type을 결정하는데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의 크기를 비교하려는 입장에서는 해석상(解析上)의 어려움이 따랐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다른 Model을과 달리 올방개에 대한 효과에서 Synergism을 나타냈다. 여러 모델들이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지는 않았으나 bensulfuron 5~10g과 oxyfluorfen 5~10g을 혼합처리(混合處理)할 경우 synergistic한 경향을 보이며 방제율(防除率)도 비교적 높아 이 수준의 약량을 혼합처리(混合處理)하면 bensulfuron만으로 방제가 어려운 잡초의 방제는 물론 약량 감소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