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Ploidy as a Predictive Index of Therapeutic Response in Lung Cancer

폐암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 예측지표로서의 DNA Ploidy

  • Choi, In-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Shin-S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Yang, Jae-Beo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Park, Kyung-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Jung, Sang-Woo (Department of Path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최인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신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양재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경옥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상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Published : 1992.04.30

Abstract

Background: Although many authors have reported that the median survival time of surgical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as shorter in aneuploid than in diploid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there are few reports about DNA ploidy using bronchial brushing material in all types of lung cancer. Method: The DNA ploidy test results of 109 consecutive patients with lung cancer were analyzed to find the relationship of DNA ploidy and anatomic or physiologic stage. And the differences of the response to various therapeutic modalities according to DNA ploidy were evaluated at least 8 weeks after the begining of the therapy. Results: Numbers of patients with DNA aneuploid pattern or high proliferative activity (S+G2M>22%)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various cell types of lung cancer. The relationship of DNA ploidy and anatomic or physiologic stag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NSCLC patients with high proliferative activity showed more advanced anatomic stage than those without that (p<0.05). The short-term response rate to therapy depended on the anatomic (p<0.005) or physiologic stages (p<0.05) in patients with NSCLC, and not on DNA ploidy or proliferative activity. Conclusion: DNA ploidy test using bronchial brushing material revealed that high proliferative activity means advanced anatomic stage, but it was not useful to predict the therapeutic response.

연구배경 : 수술을 시행했던 비소세포폐암에서 유체세포계산법(flow cytometry)으로 DNA ploidy를 측정했을때 aneuploid 종양이 diploid 종양 보다 생존기간이 짧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소세포폐암을 포함한 폐암에서 기관지 솔질에 의한 세포학적 표본을 이용하여 측정한 DNA ploidy가 치료에 대한 반응을 잘 예측할 수 있을 것인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법 : 기관지내시경검사시에 기관지 솔질을 해서 얻은 표본으로 DNA ploidy 검사를 시행하였고 조직학적으로 폐암으로 확진되었던 109예를 대상으로 해부적 생리적 병기와 DNA ploidy와의 관계를 검토하였고, 치료를 시작한지 8주 이상 지나서 반응을 검토할 수 있었던 58예를 대상으로 DNA ploidy에 따른 반응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결과 : 1) 세포 형태에 따라 aneuploid 혹은 고증식력(S+G2M>22%)의 발현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2) DNA ploidy와 해부적 생리적 병기는 유의한 관계에 없었으나 비소세포폐암에서 고증식력군때는 저증식력군에 비해 해부적 병기가 진행된 경우가 많았다(p<0.05). 3) 치료에 대한 반응은 해부적 병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소세포폐암 p=0.10, 비소세포폐암 p<0.005), 생리적 병기에 따라서는 비소세포폐암에서만 차이가 있었다(p<0.05). 4) DNA ploidy와 증식력에 따라서는 치료에 대한 반응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기관지 솔질 표본을 이용하여 시행한 DNA ploidy 검사는 고증식력 유무가 해부적 병기와 관계가 있었으나 치료에 대한 단기 반응을 예측하는 데는 해부적 생리적 병기만큼 유용하지는 않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전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