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성 융모상피암의 고립성 폐전이 -3가지 유형-

Solitary Pulmonary Metastasis of Gestational Choriocarcinoma -Three Cases of Different Types-

  • 유세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진목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재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인광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Yoo, Se-Hw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Yoo, Zin-Mo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Cho, Jae-Y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In, Kwa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Medical College)
  • 발행 : 1992.02.29

초록

임신성 융모상피암은 임신으로 생성되는 영양아 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도가 높은 암이다. 이 암은 초기에 폐 전이를 일으키며, 폐 전이는 경계가 명확한 수개의 결절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가장 흔하다. 그러나 간혹 고립성 폐전이를 일으켜 진단이 어려울 때가 있다. 저자들은 각각 일측폐의 전체, 동전양 병변, 괴사성 종양의 소견을 보인 세유형을 보고하며 융모성 질환의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여성의 고립성 폐병변의 감별에서 산부인과 병력과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 측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Gestational choriocarcinoma is a highly malignant tumor which arises from the trophoblast of human pregnancy. This tumor develops early pulmonary metastasis and the most common pattern of pulmonary metastasis is discrete multiple nodules. But occasionally solitary pulmonary metastasis occurs. Authors presented three cases of choriocarcinoma presented with different types of solitary pulmonary metastases with review of literatures.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areful obstetric history taking and screening of serum gonadotropin level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solitary pulmonary lesion especially among women who are from areas of high prevalence of trophoblastic neoplasi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