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으로 발현한 폐장의 암종성 림프관염 환자 5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the Five Cases of Lymphangitic Carcinomatosis of the Lung Presented as Diffuse and Interstitial Disease

  • 성영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수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봉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동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서연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Sung, Young-J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Soo-J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Bong-Ch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D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eo, Yeon-Lim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2.02.29

초록

연구배경 : 폐장은 악성종양이 가장 잘 전이하는 장기로 대부분은 혈행성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절형태로 나타나나, 드물게는 림프관을 따라 전파되어 흉부 X선 검사상 미만성 간질성 폐침윤 양상으로 나타나기도한다. 때로는 이러한 림프관성 전이가 원발성암의 증상이 뚜렷치 않으면서 호흡기 증상과 흉부 X선 검사상 미만성 간질성 폐침윤이 보여 다른 간질성 폐질환과의 감별을 요하는데 이러한 경우를 경기관지 폐생검으로 암종성 림프관염이 진단되었던 5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 임상소견, 폐기능검사,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기관지 폐포 세척술과 경기관지 폐생검 검사로 진단을 얻었다. 결과 : 종양의 원발병소는 5명중 3명이 위암이었고, 2명은 폐암으로 생각되었다. 폐기능검사상 2명의 환자에서는 폐확산능이 감소된 제한성 환기장애를 보인 반면 한명에서는 폐쇄성 환기장애를 보였다. 기관지 폐포 세척술에서는 4명의 환자에서 모두 림프구 증가소견을 보였고 세포학적 검사상 이중 한명에서는 암세포도 관찰되었다. 경기관지 폐생검 검사에서 림프관에만 국한된 암세포가 관찰되었고, 이들의 cell type은 4명이 선암종이었고, 1명은 편평 상피 암종이었다. 결론 : 드물게, 암종성 림프관염은 원발성암의 증상이 없이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경기관지 폐생검 검사로 쉽게 진단되어 질수 있다.

Background: The lung is the most common site of metastasis and usually it manifests as a single or multiple nodules in chest X-ray. But less commonly the cancer spreads through the lymphatics and X-ray shows diffuse reticulonodular densities. Sometimes, patient is presented with respiratory symptoms only with interstitial lung infiltration before the signs of primary tumor and in that cases, the differential diagnosis with other interstitial lung disease is required. We have experienced 5 such cases, who were diagnosed as lymphangitic carcinomatosis by transbronchial lung biopsy. Methods: Clinical manifestation, pulmonary function test, modified thin section CT, bronchoalveolar lavage and transbronchial lung biopsy were done. Results: The primary tumor was gastric cancer in 3, lung cancer in 2. Pulmonary function test showed restrictive pattern with low DLco in 2 patients and obstructive pattern in one. Bronchoalveolar lavage showed lymphocytosis in 4 patients and malignant cells were found in one patient. Transbronchial lung biopsy revealed malignant cells localized to the lymphatics (peribronchial, perivascular and perialveolar). Cell type was adenocarcinoma in 4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one. Conclusion: Rarely lymphangitic carcinomatosis can be presented as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and easily diagnosed by transbronchial lung biops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