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st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and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 in the Diagnosis of Middle Lobe Syndrome

페중엽증후군에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굴곡성 기관지경검사의 의의

  • Lee, Nam-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Hong-Ley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Se-Ky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Chang, 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S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Wo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이남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홍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세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성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원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2.06.30

Abstract

Background: As well as fiberoptic bronchoscopy, chest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can now differentiate the benign from malignant causes and the obstructive from non-obstructive causes of lung collap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hest CT scan and fiberoptic bronchoscopy in the diagnosis of middle lobe syndrome. Method: We reviewed the clinical features, roentgenographic changes, pathologic findings and bronchoscopic findings in 16 patients with middle lobe syndrome who were admitted to Severance Hospital during period of January, 1987 through January, 1992. Res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cough and sputums. Crackle was the most common physical finding. Underlying disease was lung cancer, pulmonary tuberculosis and endobronchial tuberculosis in 3 each other, benign stenosis in 2, lung abscess, broncholithiasis, bronchial chondroma, pneumonia and nonspecific inflammation in 1 each other.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combination of chest computerized tomogram and fiberoptic bronchoscopy was most desirable for the diagnosis of middle lobe syndrome.

연구배경 : 최근 전산화 단층 촬영술의 발달로 인해 폐 허탈의 원인으로 기관지 폐쇄질환과 비폐쇄질환의 감별뿐만 아니라 폐쇄질환중에서도 양성질환과 악성질환의 감별이 비교적 용이하게 되었다. 과거 폐중엽중후군의 일반적 특성 및 원인질환에 관한 국내보고는 많았으나 폐중엽증후군에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굴곡성 기관지경검사의 종합적 평가에 의한 진단적 의의에 관한 보고는 찾아 보기 어려웠다. 이에 저자등은 폐중엽 증후군 16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 저자들은 1987년 1월부터 1992년 1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에 입원하여 중엽증후군으로 진단된 16명을 대상으로 임상특징,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기관지경 소견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남녀의 비는 특기할 차이가 없었으나, 50세 이상이 81.3%를 차지 하였다. 2) 임상증상은 기침이 11예(68.7%)로 가장 많았고, 객담 7예(43.8%), 흉통 7예(43.8%), 호흡곤란 5예(31.3%), 식욕 부진 4예(25.0%)의 순이었다. 3) 이학적 소견은 염발음(31.3%)이 5예로 가장 많았고, 통음 2예(12.5%) 호흡음 감소 5예(31.3%), 천명음 1예(6.2%)의 순이었다. 4)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은 16예중 5예에서 종괴에 의한 폐쇄소견올 보였으며 7예에서 비특이적 폐쇄소견을 보였고 3예에서는 폐쇄소견이 없었다. 5) 기관지경소견은 16예중 종괴소견이 5예, 폐쇄나 협착 소견이 7예, 삼출액을 동반한 궤양소견이 1예, 분비물로 막힌 경우가 1예, 점막충혈 소견이 2예있었다. 6) 원인질환으로는 결핵성 질환이 6예(37.6%)로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폐압 3예, 양성협착 2예(12.6%), 폐농양 1예(5.2%), 기관지 결석증 1예(12.6%), 폐렴 1예(12.6%), 기관지 연골종 1예(12.6%), 비특이성 염증 1예(12.6%)의 순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폐중엽증후군의 원인질환으로 결핵성 질환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하므로서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감별키 어려웠던 국소 질환의 관찰 및 이로부터 얻은 검체를 통하여 진단적 소견을 얻을 수 있어 폐중엽증후군의 진단과 확진에 흉부 전산화단층촬영과 기관지경 검사의 병용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