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Anxiety Scale Applied to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불안 환자에 대한 불안척도의 연구

  • Lee, Jung-Hoo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Byung-Ta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이중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박병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2.06.30

Abstract

The authors studied anxiety, using Zung's self-rating anxiety scale(SAS), in the subjects of 127 male and 38 female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The authors investigated 165 patients i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7 to June, 1991.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n anxiety scores Pearson's product moment coefficient correlation method and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PSS/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averages of total anxiety scores among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and male and female college freshme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scored $42.40{\pm}7.74$, male students scored $32.91{\pm}5.70$, female students scored $34.48{\pm}6.00$. The anxiety scores relating to the items of body aches & pains, fatigue, anxiousness, panic, and urinary frequency were relatively high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The anxiety scores on the items of restlessness, apprehension, dyspnea, sweating, and insomnia were relatively low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Twenty-nine anxiety disorder group(17.5%) showed significantly high anxiety scores of 50 or over.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Zung's self-rating anxiety scale was 0.71.

1987년 1월 부터 1991년 6월 까지 영남대학교 영남의료원 정신과에 외래 및 입원한 정서장애 환자중 불안장애로 진단 받은 환자 남자 127명(77.3%), 여자 38명(23.0%)인 총 1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Zung의 자가 평가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안성적의 평균 총점은 $42.40{\pm}7.74$을 보였다. 불안의 항목별 상위성적은 두통 및 신체동통, 피로, 불안, 공황, 빈뇨 등의 순서로 높았다. 항목별 하위성적은 초조, 우려, 호흡곤란, 발한, 불면 등의 항목이었다. SAS에서 심계항진과 공포, 심계항진과 진전, 피로와 혼돈, 졸도와 현기증, 공포와 불안, 악몽과 공포, 혼돈과 공황, 현기증과 혼돈, 심계항진과 공황, 피로와 두통 및 신체동통, 혼돈과 불안, 공황과 불안, 감각이상과 심계항진, 진전과 공포, 진전과 불안, 공황과 공포 등의 문항 간에는 확실히 상관이 있었다. 성적 분포는 50점 이상인 경우가 17.5%(29명)이였다. SAS에서 각 문항들의 신뢰도는 Cronbach 알파를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SAS의 문항 전체의 신뢰도는 0.71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