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of a Latent Heat Storage System Using Two-Phase Closed Thermosyphon(I) - the Case of Constant Heat Input -

열싸이폰을 이용한 잠열축열시스템의 성능실험(I) - 열주입량이 일정한 경우 -

  • 김태일 (한국전력 기술주식회사) ;
  • 김기현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 Published : 1992.12.30

Abstract

The performance of a latent heat storage system using a thermosyphon as the heat transfer device between the heat source and the phase change material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 conductivity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s of copper wire mesh were immersed in the paraffin wax(Sunoco P-116) in such a way that they also may be considered as fins of the thermosyphon.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void space of the wire mesh allowed the convection to occur, thus enhanced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 (2)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layer of wire mesh increased the conduction heat transfer. However, it also had adverse effect of subduing convective motion of liquid wax : and (3)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thermosyphon conductanc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layer of wire mesh, wherea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between the thermosyphon and the wax decreased.

상변화물질로의 열전달기구로써 열싸이폰을 사용하는 잠열 축열 시스템의 축열성능을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상변화 물질로는 파라핀 왁스(Sunoco P-116)를 사용하였고 왁스의 유효열전도계수를 높이기 위해 여러겹의 구리망을 왁스에 넣었으며 이 구리망은 열싸이폰의 fin의 역할도 하게했다. 열주입율을 변화시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구리망 사이의 공간은 용해된 왁스의 대류유동을 허용하여 왁스내의 온도를 비교적 균일하게 해 준다. (2) 구리망의 수가 증가하면 전도열전달은 향상하나 대류작용은 억제된다. (3) 구리망의 수가 증가하면 열싸이폰의 열관류계수와 전 열관류계수는 증가하나 열싸이폰의 응축부와 왁스사이의 열전달계수는 감소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