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의 근류형성(根瘤形成)과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대한 근류균(根瘤菌) 접종방법(接種方法)의 영향(影響)

Nodulation and N2 Fixation in Groundnut as Affected by Inoculation Method

  • 발행 : 1992.03.31

초록

항생제 내성 변이균주 JB7 $nal^rspe^r$와 CB756 $str^rrif^r$을 이용하여 살균하지 않은 밭토양에서 접종방법이 근류균의 증식과 근류형성 및 질소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JB7 $nal^rspe^r$균주(菌株)를 종자당 $10^2$에서 $10^8$세포수준으로 접종(接種)했을때 접종농도(接種濃度)의 증가와 함께 근류형성(根瘤形成)이 증가하였다. 접종방법별(接種方法別)로는 YMB배양 액체접종(液體接種)이 Peat slurry나 Peat입자(粒子) 접종(接種)보다 더 많은 근류(根瘤)를 형성(形成)했고, Peat slurry와 입자(粒子) 접종간(接種間)에는 차이가 없었다. 토양(土壤) g당 $10^3$ 세포(細胞)의 근류균(根瘤菌)을 함유(含有)하는 토양(土壤)에 JB7 $nal^rspe^r$와 CB756 $str^rrif^r$을 혼합(混合)하여 접종(接種)했을때 모든 근류(根瘤)가 접종균(接種菌)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JB7 $nal^rspe^r$균주(菌株)에 의한 근류점유율이 월등히 높았다. 품종간에 근류점유율의 차이는 없었다. 접종균류(接種菌株)는 근권에서 점진적으로 증식되었으며, JB7 $nal^rspe^r$가 더 큰 폭으로 증가되었다. 땅콩의 수량은 무접종구보다 접종구가 높았으나 질소처리구(窒素處理區)와 접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Effective strains of cowpea bradyrhizobia JB7 $nal^rspe^r$ and CB756 $str^rrif^r$, antibiotic-resistant variants of JB7 and CB756, respectively, were used to examine changes of rhizosphere populations and nodule occupancy. Populations of each strain increased gradually in the rhizosphere, reaching a maximum of about $10^8$ cells per root system. Nodule number increased as the density of inoculum increased from $10^2$ cells to $10^8$ cells per seed. Inoculation with liquid suspension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more nodules than the peat slurry or granule inoculation. When JB7 $nal^rspe^r$ and CB756 $str^rrif^r$ were introduced in equal numbers in inoculum mixtures the former consistantly occupied the majority of nodules with all three groundnut cultivars us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yield between nitrogen treatments and inocultation treatm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