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en-Year Result of Artificial Inoculation of Pines with Ectomycorrhizal Fungi, Pisolithus tinctorius and Thelephora terrestris

묘포장(苗圃場)에서 균근균(菌根菌)으로 인공접종(人工接種)한 5개(個) 소나무류(類)의 접종(接種) 10년후(年後) 조림지(造林地)에서의 생장효과(生長效果)

  • 이경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1992.03.30
  • Published : 1992.06.30

Abstract

Pinus koraiensis (Pk), P. rigida (Pr) and P. rigida ${\times}$ P. taeda (Pr. t) seedlings in a bare-rooted nursery were artificially inoculated with Pisolithus tinctorius (Pt) and Thelephora terrestris (Tt) to test long term effects of ectomycorrhizal inoculation on host growth. Mycelial inocula of Pt and Tt were mass-cultured in vermiculite-peatmoss mixture and introduced into fumigated nursery soil before seed sowing. Bare-rooted, inoculated seedlings at one to four years of age were outplanted to the field with $P_2O_5$ content of 25 ppm in soil. At the time of outplanting, Pk seedlings(4 years old), Pr seedlings(2 years old), and Pr.t seedlings(1 year old) all infected by Pt were significantly taller by 28%. 26%, and 77%, respectively, than controlled seedlings infected by natural population of mycorrhizal fungi in the non-fumigated plot. Ten years after inoculation or six to nine years after outplanting, Pk seedlings inoculated with Pt were significantly taller by 9% Pr.t seedlings significantly taller by 18%, and Pr slightly Caller by 2%(not significant) than controlled seedlings, suggesting that the stimulatory effect of Pt on host growth gradually declined or became minimal after outplanting. Tt failed to stimulate host growth either in the nursery or in the field, and the survival rate of outplanted seedlings was not different among fungal treatments. Considerable loss of the infected root system during lifting the seedlings for outplanting would be the primary cause of the reduced effect of Pt in the field. Pt infected more than 90% of the fine roots in the fumigated nursery during the first growing season, but Pt assumed to fail to compete successfully with natural popula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select other mycorrhizal fungi which adapt well in both nursery and field.

본(本) 연구(硏究)는 묘포장(苗圃長)에서 균근균(菌根菌)으로 인공접종(人工接種)한 소나무류(類)의 수고생장(樹高生長) 촉진효과(促進效果)가 조림지(造林地)에서 계속하여 지속(持續)되는지를 구명(究明)하기 위한 것이다. Methyl bromide로 토양훈중(土壤熏蒸)한 다음, 모래밭버섯 (Pisolithus tinctonris)과 사마귀버섯 (Thelephora terrestris) 균근균(菌根菌)으로 인공접종(人工接種)하여 양묘(養苗)한 적송, 리기다, 리기테다, 해송, 잣나무 유묘(幼苗)를 조림지(造林地)에 이식(移植)하여, 접종후(接種後) 10년(年) 동안의 균근균(菌根菌)의 접종효과(接種效果)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하였다. 조림직전(造林直前)까지 포지(圃地)에서 생장(生長)한 소나무류(類) 유묘(幼苗)를 대상(對象)으로 수고생장량(樹高生長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을 접종(接種)한 처리구(處理區)가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적송의 경우에는 75%, 해송은 46%, 리기테다소나무는 77%, 잣나무는 28%, 리기다소나무는 26% 정도 더 수고생장량(樹高生長量)이 높게 나타났으나, 사마귀버섯 균근균(菌根菌)을 인공접종(人工接種)한 처리구(處理區)는 리기테다에서만 대조구(對照區)와 비교(比較)했을 때 유의적(有意的)인 수고생장(樹高生長) 촉진효과(促進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접종(接種) 10년후(年後) 잣나무와 리기테다소나무의 경우에는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의 접종(接種)으로 수고(樹高)가 각각 9%와 18%의 생장촉진(生長促進)을 나타냈으나, 조림당시(造林當時)에 비하여 감소(減少)한 셈이다. 리기다소나무는 조림(造林) 3년후(年後)부터 점차 다른 처리구(處理區)의 수고생장량(樹高生長量)이 증가(增加)하여 4년(年)째부터는 처리간(處理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나타나지 않았다. 적송과 해송은 솔잎혹파리 피해(被害)로 인하여 결과(結果)를 분석(分析)할 수 없었다.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의 접종(接種)은 양묘시(養苗時)에 세근(細根)발달이 우수(優秀)한 건전묘생산(健全苗生産)에 효과(效果)가 인정되나, 균근(菌根)의 접종효과(接種效果)를 조림지(造林地)에서 계속(繼續)하여 유지(維持)하기 위하여는 용기(容器)에 양묘(養苗)하여, 뿌리가 손상(揚傷)되지 않는 상태(狀態)로 조림(造林)아여야 할 것이며, 조림지(造林地)에서도 계속적응(繼續適應)할 수 있는 새로운 균종(菌種)의 개발(開發)이 필요(必要)하다고 결론(結論)짓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