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undmental Study of Prediction of Natural Disaster Using the Aerial Photo Interpretation

항공사진판독에 의한 자연재해예측을 위한 기초적 연구

  • 강인준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 곽재하 (부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정재형 (부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1992.12.01

Abstract

As population is increased, land use types are changed mountainous areas from flatland in Korea. Because natural disaster as landslides occur of life, property, and environmental damage, prediction of landslide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We focus on the issue for assessment of landslides, not slope stability analysis for a simple slope site. In this study, we could know the correlations of mean, standard deviation for brightness value of imagery by aerial photo scanning. The range of brightness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 of landslide area is 35~65 and tend to increment of value, in the every years. When evaluating large regions with past occurrence of landslides,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correlation of site conditions such as degree of slope, soil characteristics, vegetative cover, and rainfall conditions in aerial photo interpretation data.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토지의 이용이 평지에서 경사지로 이동되고 있으며, 산사태와 같은 자연재해는 인명의 손실, 재산상의 손실, 그리고 자연환경 파괴를 일으켜 그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산사태 예측에 있어서 단일사면에 대한 안정검토해석이 아닌 광범위한 지역의 위험지 예측은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지역의 항공사진 스캐닝으로 얻은 이미지밝기값의 평균 및 표준편차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다. 산사태 지역에서는 밝기값 범위가 35~65에 분포하였고, 표준편차가 경년변화에서 조금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넓은 지역의 산사태 조사에서는 항공사진 자료에 의해 경사도, 토질특성, 피복상태의 상관관계를 구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