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Tumor Associated Antigens, TAG-72 and CEA, in Stomach Cancer

위암조직에서 종양관련항원 TAG-72와 CEA의 농도 및 분포

  • Chung, June-ke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yu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Hong-Keun (Department of Bio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h, Cha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Sang-M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Korea Canter Research Hospital) ;
  • Jang, Ja-Joon (Department of Pathology, Korea Canter Research Hospital)
  • 정준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명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홍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
  • 고창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임상무 (원자력병원 핵의학과) ;
  • 장자준 (원자력병원 병리과)
  • Published : 1992.12.31

Abstract

악성종양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특정 종양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신티그라피로 암의 조기 진단 및 영상화가 가능하고 나아가 방사면역치료는 암의 선택적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악성종양으로 방사면역신티그라피와 방사면역치료법이 새로운 방법으로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진단 및 치료법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의 하나가 종양조직내에서 종양관련 항원의 농도와 분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학적 방법의 임상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in vitro quantitative autoradiography를 이용하여 종양 관련항원인 TAG-72와 CEA의 위암조직내 농도 및 분포를 측정하였다. 33예의 위암조직에서 얻은 동결절편을 $1.3\sim83.3$ nmol/liter의 $^{125}I$ 표지 항 TAG-72 단세포군 항체 B-72.3과 항 CEA 단세포군 항체 CEA-79로 반응시킨 후 이 표본들의 자가방사법 디지탈 영상을 H & E 염색과 immunoperoxidase염색 표본과 비교하였으며, 특정 단세포군 항체의 결합에 대한 컴퓨터 분석으로 조직내 항원의 농도와 분포를 측정하였다. TAG-72는 25예(75.7%)의 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는 $8.4\sim525.3$ pmol/gram이었고, CEA는 32예 (96.9%)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는 $8.8\sim592.9$ pmol/gram 이었다. CEA의 위암 조직내 발현농도는 중앙치가 101.7 pmol/gram 으로 TAG-72의 중앙치인 27.9 pmol/gram 보다 높았다. TAG-72의 조직내 분포는 41.4%에서 병변 부위의 암세포 분포와 일치하였고, CEA의 분포는 병변 부위의 80.5%에서 암세포와 일치하는 소견을 나타내었다. TAG-72의 농도는 점액성 선종(mucinous adenocarcinoma)과 점액함유 선종(mucin containing adenocarcinoma)에서 다른 선종보다 더 높았다. CEA의 농도는 위암의 병리학적 종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위암조직에서 TAG-72와 CEA항원이 다양하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고 CEA는 TAG-72 보다 더 빈번하게 균일한 분포로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