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Fertility Status of Arableland in Korea and Their Management Practices Required

우리나라경토의 비옥도현황과 시비관리대책

  • Published : 1992.08.01

Abstract

In order to find out the reasons for the excessive accumulation of certain fertilizer elements in arable land in Korea, which may be a detrimental factor for her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future, total requirement of fertilizers were estimated from the huge number of soil test data obtained throughout the country using the fertilizer requirement models based on the soil analysis data and the concepts of multi nutrient factor balance or starter fertiliazer. The total fertilizer requirements estimated based on the present soil fertility status were much less than those estimated from the suspected cropping area of various crops cultivated depending on the conventional fertilizer recommendation for each crops or the actual amount of fertilizer elements consumed through National Agricultural Cooporative Federation(NACF). The excessive accumulation of certain fertilizer elements in arable land in Korea must be due to excessively high dose of chemical fertilizers as well as those farm wastes such as animal wasts produced unexpectedly in large amounts or crop residues.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improved fertilizer recommendation must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both with the soil fertility status and the amounts of nutrient removal by each crop, and that the high analyzed complex fertilizers commonly used by farmers must ugently be developed in a form containing low P and K with Mg and slow release type N for the better balanced management practices of soil fertility by farmers arid for their practices of sustainable agriculture.

우리나라의 경작지 경토중에 특정비료성분의 과다축적으로 경토중의 각종성분 상호간의 불균형현상이 심화되어 경지의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작토성분함량을 감안한 시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발된 기존 시비적량 추정방법에 따라 주요 개선제 및 3요소 수요량을 추정하는 한편 그 대책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별 시비적량과 예상재배면적에서 추정한 3요소수요량은 경토분석치에서 추정한 수요량의 질소는 76.3% 인산은 308.3% 가리는 363.2%로서 질소는 과소하였고 인산과 가리는 과다하였다. 2. 1970년부터 1990년간의 년간 평균 3요소공급량은 경토분석치에서의 추정수요량보다 모두 많아서 질소는 113.8% 인산은 297.4% 가리는 287.5%였고 1990년도에 농업협동조합을 통해서 전국에 공급한 3요소성분량도 경토분석치에서 추정한 량보다 더욱 많아서 질소는 1.42배, 인산은 3.35배, 가리는 4.04배였으며 이것이 축산발기물에서 경토에 가해지는 량과 더불어 경토에 인산과 가리성분의 축적량이 특히 많은 원인이라고 판단되었다. 3. 지난날의 3요소수요량이 과다한 것은 현재의 과다하게 설정되어있는 작물별시비기준량 때문이며 현 우리나라 작물별 시비기준량은 일본기준량에 비해서도 과다하기 때문에 재검토를 요한다고 판단되었다. 4. 전작물에 대한 시비적량은 각 작물별로 적정생산에 필요한 성분흡수량과 경토의 유효성분함량과의 관계에서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이 적합할것으로 판단되었다. 5. 우리나라 경지의 균형적 비옥도관리를 촉진시키기 위한 당면과제는 저인산 저가리 함고토 및 완효성질소를 함유한 3요소복비의 개발보급이 시급하다 하겠으며 앞으로는 밭 작물에 대해서도 적절한 시비적량 추정모형을 개발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