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Reciprocal Grafting between Varieties on Growth and Yield in Soybeans

콩 품종간의 상호접목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2.08.01

Abstract

Self-and reciprocal-graftings were made between soybean varieties(cv.Hwangkeumkong, Paldalkong, Bokwangkong and Jangkyongkong) to assertain the relative role of shoot and root in soybean growth and yield determination. The influence of grafting per se on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on main stem were negligible as evidenced by the i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lf-and reciprocal-graftings. The effect of grafting on flowering was different between different set of varieties grafted reciprocally. Self grafting delayed flowering 2 days and reciprocal grafting delayed another 2 days, in general. The effects of grafting on dry weights of different plant parts except pod were also insignificant. Reciprocal grafting increased pod dry weight in Hwangkeumkong and Paldalkong regardless whether they were used as scion or stock. Reciporcal grafting also influenced dry weights of Bokwangkong and Jangkyongkong significantly, but the response was different from those of Hwangkeumkong or Paldalkong. Jangkyongkong, when used as stock, decreased total dry weight of Bokwangkong significantly through the reduction of pod and stem dry weights. Stem diameter was increased by grafting, however, grafting decreased number of branches in all varieties. The average yields of self-and reciprocal-grafting were decreased by 11% and 24%, respectively, comparing to that of non-grafting, while average yield of reciprocal grafting was 14% lower than that of self grafting. Stem weight of grafted soybeans was decreased by 29-32% comparing to that of non-grafted soybeans, but the difference between self and reciprocal graftings was negligible.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scion was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stock in determination of yield and stem weight. It was also indicated that varieties and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in response to grafting.

콩 품종간의 상호접목을 통하여 지상부와 지하부의 능력을 비교하여 콩품종개량이나 재배법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황금콩, 팔달콩, 보광콩 및 장경콩을 공시하여 자가접목 및 품종간 상호접목을 하여 이식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광콩의 초장이 106.3-109.8cm로 가장 컸으며 팔달콩이 68.6-70.3cm로 제일 작았는데, 접목에 의하여 초장이 감소되기는 하였지만 대목의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다. 2. 엽수는 팔달콩이 9.6-9.8매로 가장 적었으며, 장경콩이 14.2-15.3매로 제일 많았는데 처리간의 차이는 없었다. 3. 개화일수는 접목에 의하여 2-4일 지연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황금콩과 팔달콩은 자가접목보다는 상호접목에서 지연정도가 켰으나 보광콩과 장경콩은 상호접목보다는 자가접목에서 지연정도가 더 커서 품종간에 접목에 대한 반응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4. 부위별 건물중에 대한 접목의 영향도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엽중에 대한 접목의 영향이 인정되었고, 보광콩과 장경콩의 상호접목에서도 장경콩이 보광콩의 부위별 건물중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5. 경태는 접목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며, 분지수는 감소하였고, 보광콩은 접목에 의하여 증중이 감소하였다. 6. 수양은 자가접목이 비접목에 비하여 11%, 상호접목은 자가접목에 비하여 14%그리고 상호접목은 비접목에 비하여 24% 감소하였으며, 경중은 수양과 같은 경향이었으나 접목에 의한 감소가 29-32%로 정도가 수량에 비하여 더 켰으나 자가접목과 상호접목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7 .수확지수는 접목에 의하여 황금콩과 장경콩은 1.4-6.1% 그리고 팔달콩과 보광콩은 4.4-8.6% 높아졌다. 8. 접목하였을 때의 수양이나 경중은 대목보다는 접수로 사용된 품종의 유전적 특성에 의하여 좌우되었으며, 품종과 특성에 따라서 접목에 대한 반응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