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간거리가 녹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w Spacing on Growth and Yield of Mungbean

  • 발행 : 1992.08.01

초록

제주지방에 있어서 녹두의 적정휴간거리 밝히고자 1988년부터 1990년에 주간거리와 주당 본수를 각각 10cm, 2본으로 하고 휴간거리를 20(50주 / m$^2$), 30(33.3주 / m$^2$), 40(25주 / m$^2$), 50(20주 / m$^2$), 60(16.7주 / m$^2$)cm로 달리함에 따른 선화녹두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화시와 성숙시는 휴간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경장, 본당 협수, 협당 립수, 1000립중 등은 휴간거리가 좁아짐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종실수량은 휴간거리가 60cm에서 40cm로 좁아짐에 따라서 2차곡선적으로 증가되었으나 휴간거리가 더 좁아질 경우 수량도 감소되었다. 제주지방 선화녹두의 적정휴간거리는 40cm로 판단되었다.

A Cheju-leading mungbean cultivar Seonhwanogdu was seeded at 20, 30, 40, 50 and 60cm row width with within-row plant spacing of 10cm in mid-June of 1988 to 1990 to determine effects of row width on growth and seed yield of mungbean in Cheju area. Initial flowering and maturing dates were not influenced by the row width. Stem length, pods per plant, seeds per pod, 1000-seed weight linearly decreased as row width decreased because planting density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ed yield and row width was quadratic, and the optimum row width with within-row plant spacing of 10cm for higher yield of mungbean was 40cm in Cheju.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