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eed Size, Temperature and GA Treatment on Hypocotyl Elongation in Soybean

콩의 종자크기, 온도 및 GA처리가 하배축신장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2.02.01

Abstract

The pres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bility of hypocotyl elongation among the major soybean varieties by checking several condition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ate of hypocotyl elongation is the highest during the day from 3.0 to 3.5 after seeding. It follows that it may be reasonable to evaluate the hypocotyl elongation of soybean seeds by comparison of hypocotyl length. And the tested 15 major cultivars could be classified as follow ; long ; Eunhakong, Janggyungkong and Bokwangkong, medium ; Namhekong, Dangyung-kong, Danyubkong, Milyangkong, Dugyukong, Paldalkong, Mangunjoseng, Namchunkong and Seal kong, short ; Gwanggyo, Begunkong and Jangbegkong. The hypocotyl elongation in small seed is longer than large seed. Correlation coefficients(r)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100 seed weight and hypocotyl elongation is -0.2506$^{**}$. As the rising temperature, the hypocotyl length is elongated, and longest at the range of 30 to 35$^{\circ}C$. The effects G $A_3$ hastened the hypocotyl elongation of soybean seed, and ABA, Kinetin and BA inhibit it, and that of those in short hypocotyl cultivars are higher than long hypocotyl cultivars. Hypocotyl length of long hypocotyl cultivars are longer than that of short hypocotyl cultivars under high temperature pre -treatment.

대두재배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주수를 결정하기 때문에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출아ㆍ입묘에 대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한국 대두 장려 품종들에 대한 하배축신장성 및 출아에 대한 조사를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하배축신장은 파종 후 3.0-3.5일 사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하배축신장성이 '양호'한 품종은 은하콩, 장경콩, 보광콩, 등 3품종이었고, '중' 품종은 남해콩, 단경콩, 단엽콩, 밀양콩, 덕유콩, 팔달콩, 망운조생, 남해콩, 새알콩, 등 9품종 이었고 '불량'했던 품종은 광교, 백운콩, 장백콩 등 3품종이었다. 2. 같은 품종에 있어서 종자크기별 하배축신장은 종자크기와는 반대로서 소립, 중립 및 대립 순으로 종자크기가 작을수록 오히려 하배축신장이 양호하였다. 3. 100입중과 하배축신장성과의 관계는 r=-0. 2506$^{**}$ 으로 100입중이 클수록 하배축신장성은 오히려 저조하였다. 4. 처리온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은 양호하였고, 낮을수록 저조하였는데 우리나라 대두의 하배축신장에는 30-35$^{\circ}C$가 적온이었다. 또한 처리온도 $25^{\circ}C$에서 특이하게 하배축신장이 억제되었던 품종은 발견할 수 없었다. 5. G $A_3$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을 촉진하였고, ABA, Kinetin및 BA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을 억제하여 서로 상반되는 .반응을 보였는데 그 정도는 하배축신장이 큰 품종에 비해 작은 품종에서 뚜렷하였다. 6. 습윤ㆍ고온처리에 의한 종자노후화 정도는 하배축신장이 양호하였던 품종이 불량하였던 품종보다 노후화 속도가 느려 습윤ㆍ고온처리를 하였을 때도 하배축신장이 뚜렷하게 컸다.

Keywords